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중 정상회담 "FTA 공동연구 빨리 마무리..착실히 추진"(종합)

후진타오 "천안함 희생자·가족에 위로"..李대통령 "조사결과 中에 사전에 알리겠다"

[상하이=아시아경제 조영주 기자] 이명박 대통령은 30일 중국 상하이에서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 한·중 정상회담을 갖고 천안함 침몰사태 해결과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추진 등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후 주석은 이날 오후 상하이 서교빈관 사계청에서 가진 정상회담 모두에 이 대통령에게 "이 자리를 빌어 천안호(천안함) 침몰 사고 희생자와 희생자 가족들에게 위로와 위문의 뜻을 표한다"고 말했다고 이동관 홍보수석이 전했다.

후 주석이 천안함 사태와 관련해 공식적으로 언급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 대통령은 이에 대해 "5000만 한국 국민이 이번 사건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중국 정부의 위로의 뜻을 한국 국민과 유가족들에게 전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한국 정부가 천안함 사건을 아주 신중하게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조사하고 있다"고 언급한 뒤 '현재까지 내부폭발이 아닌 비접촉 외부폭발로 추정된다'는 1차 민군합동조사단의 조사결과를 설명했다.


이어 "조사결과가 나오는대로 중국측에 사전에 알리겠다"며 중국 정부의 깊은 관심과 협력을 요청했다.


후 주석은 "한국 정부가 이번 사건을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조사하고 있는데 대해 평가한다"고 답했다.


이같은 양국 정상의 대화는 천안함 사태해결을 위한 한국과 중국간의 공식협의를 시작하는 첫 단추로 분석된다. 특히 다음달 중순 양제츠 중국 외교부장이 방한하고, 내달말에는 한·중·일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어 천안함 사태 해결을 위해 양국간의 협의와 협력이 본격화 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관계자는 "후 주석이 언론에 공개된 모두발언을 통해 이처럼 위로의 뜻을 전한 것은 이 사건에 대한 중국측의 깊은 관심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 대통령이 '5000만 국민'이라고 표현한 것은 한국민의 슬픔과 분노가 얼마나 큰 것인지를 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과 후 주석은 한·중 FTA와 관련, 현재 진행중인 공동연구를 빠른 시일내에 마무리하고, 착실히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두 정상은 2008년 전략적협력동반자 관계로 격상된 양국관계가 순조롭게 발전하고 있는 것을 평가하고 전략적협력동반자 관계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전반에 걸쳐 심화 발전시켜나가기로 했다. 특히 2012년 양국간 교역 2000억달러 달성을 위해 기업은 물론 정부간에도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FTA라는 게 다 그렇지만 한·중 FTA는 입구에 들어서기는 쉽지만 출구를 빠져나오기는 쉽지 않다"며 "여러 복잡한 문제가 얽혀 있기 때문에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후 주석은 또 "상하이엑스포 개막식에 참석해주신데 대해 환영의 말씀을 드린다"며 "대통령께서 이번에 개막식에 참석해주신 것은 상하이엑스포를 중시하고 지지하는 것을 충분히 잘 나타낸 것이라고 생각하고 우리는 이에 대해 매우 감동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얼마전 중국 지진 때 대통령께서 위로 전문을 보내주시고 한국 정부가 긴급하게 원조를 제공해준데 대해 중국 정부와 인민을 대표해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이에 대해 "4월14일 칭하이성 지진으로 고통받은 분들에게 심심한 위로를 드리고 중국 정부가 빠른 시일 안에 복구해낼 거라고 믿는다"고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아울러 "오늘 역사상 가장 큰 상하이엑스포를 개최하게 된 것을 중국 정부에게 진심으로 축하를 드리고 매우 성공적으로 이뤄질 거라고 확신한다"고 화답했다.


이날 이 대통령과 후 주석의 정상회담은 오후 3시15분부터 30분여간(현지시간) 상하이 서교빈관 사계청에서 진행됐으며, 우리측에서는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 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 김종훈 통상교섭본부장, 류우익 주중대사, 사공일 G20 준비위원장, 윤진식 청와대 정책실장, 김성환 외교안보수석, 이동관 홍보수석 등이 배석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상하이=조영주 기자 yjcho@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