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포스코, 발전용 연료전지 국산화 완성

7일 핵심설비 스택 제조공장 착공
RPS, 건물용, 비상전원용, 선박용 등 연료전지 수요확대 주도


[아시아경제 채명석 기자] 포스코가 발전용 연료전지 국산화를 위한 설비 투자를 본격 진행한다.

포스코는 포항 영일만항 배후산업단지에서 김영학 지식경제부 차관, 이상득·이병석 국회의원, 공원식 경북 부지사, 윤정용 포항 부시장, 정준양 포스코 회장 등 관계자와 주민이 참석한 가운데 연료전지 스택제조공장의 착공식을 개최했다.


지난 2008년 연료전지 주요 설비인 BOP(Balance Of Plant) 공장을 가동한데 이어 수입에 의존하던 핵심 설비인 스택(Stack) 제조 공장을 착공해 연료전지 국산화를 완성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이 공장은 4만 3000㎡ 부지 규모내 12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100MW의 연료전지 스택을 생산하며 투자비는 700억원이다.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은 크게 연료공급과 전력변환을 담당하는 BOP(Balance of Plant)와 전기를 생산하는 스택(Stack)으로 구분된다.


포스코는 주요 발전사업자를 대상으로 신재생에너지를 일정부분 생산해야 하는 의무할당제(RPS)가 본격 시행되는 내년부터 한국전력공사 등 발전사들의 연료전지 도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포스코는 내년까지 기존 디젤발전기를 대체할 수 있는 비상전원용 연료전지와 건물 내에 설치해 전기와 열을 제공하는 건물용 연료전지를, 2015년에는 대형선박의 보조동력으로 사용할 선박용 연료전지를 출시해 시장을 확대할 계획이다.


정준양 회장은 이날 기념사에서 “연료전지 국산화와 실용기술개발, 국내 부품소재 공급사 개발을 통해 ‘저탄소 녹색성장 글로벌 선두기업’으로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포스코는 에너지자회사인 포스코파워를 통해 지난 2007년 연료전지사업을 시작한 이래 국내 12개 지역에 22.5MW 규모의 연료전지를 설치해 가동중이다.


연료전지는 기존 발전기술 대비 효율이 높고, 환경 친화적이며, 일조량, 풍속 등과 같은 자연환경의 제약을 받지 않아 24시간 상시 발전이 가능한 안정적인 전원 공급원으로써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확대에 따라 향후 수요가 더욱 증대될 전망이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3개월 연속 100% 수익 초과 달성!


채명석 기자 oricms@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채명석 기자 oricms@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