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삼성電 1분기 실적 의미..IFRS 적용 '롤모델' 급부상

'모-자회사'간 유기적 경영활동 및 해외진출 촉매제 역할


[아시아경제 임선태 기자]삼성전자의 깜짝 영업실적 발표에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K-IFRS)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IFRS 역할의 중대성이 다시 한번 입증됐다. 좋은 자회사를 보유한 기업일수록 실적 호재로 이어져 모(母)-자(子) 회사간 상호 유기적인 경영 활동을 독려할 수 있고 해외 활동도 촉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6일 삼성전자가 발표한 올 1ㆍ4분기 영업실적을 살펴보면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628.8% 증가한 4조3000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같은 기간 매출액은 34조원으로 영업이익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증가율로 집계됐다. 이는 삼성전자의 연결 대상 해외 자회사 등의 영업이익이 모두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으로 잡힌 반면 자회사들과의 내부거래 등은 매출액 산정에서 제외됐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IFRS 도입 후 자회사 실적 관리가 중대한 실적 포인트임을 강조했다. 한 회계사는 "기존 회계기준(K-GAAP)에서는 보유하고 있던 자회사 지분율만큼 만 영업외수익에 포함돼 당기순이익에 영향을 미쳤다"며 "IFRS를 도입할 경우 자회사의 영업이익이 100% 영업이익에 계정돼 좋은 자회사를 보유한 기업일수록 영업실적이 탄력적으로 상승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무엇보다 IFRS 도입은 한국 기업들의 해외 진출에 보다 탄력을 부여할 것으로 평가 받았다. 김동준 신한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회계기준 단일화와 자본시장 세계화에 부응한다는 측면 외에 글로벌 생산-영업활동을 영위하는 IT와 자동차 산업의 경우 해외 생산비중 확대에 따른 본격적인 이익 기여가 이뤄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해외 자회사의 실적이 고스란히 영업이익에 계정됨에 따라 IFRS 도입이 해외 진출 유인책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의미다.

김 애널리스트는 이어 "삼성전자의 1분기 연결실적 공시는 IFRS의 민간표준으로 인식될수 있다"며 "재계와 투자자의 관심 집중과 함께 IFRS 이슈가 본격화되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식 투자 관련 종목 선정시에도 IFRS 적용 후 재무건전성 및 실적 지표가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종목을 선정해야 함도 중요한 관전 포인트로 언급됐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IFRS 조기 도입 상장사는 지난해 14개사에 올해에는 삼성그룹 2개사와 LG그룹 모든 상장사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IFRS에서는 모회사가 자회사의 지분율을 50%를 초과해 보유할 경우 지배기업으로 분류돼 피투자기업이 연결재무제표 작성대상 종속기업이 된다. K-GAAP에서는 연결에서 제외됐던 특수목적회사(SPE)나 사모펀드(PEF)도 실질적인 지배력을 행사한다고 판단될 경우 연결대상에 포함된다.


국내 상장회사와 상장예정기업은 내년부터 의무적으로 IFRS를 적용해야 하며 금융회사의 경우 비(非)상장사라 하더라도 2011년 이후 시작하는 사업연도부터 IFRS를 의무 적용해야 한다. 유렵연합(EU)의 경우 지난 2005년부터 전면도입했고 오는 2011년에는 전세계 150여개국이 채택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3개월 연속 100% 수익 초과 달성!


임선태 기자 neojwalker@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