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상황실 24시간 가동…산불 나면 산림헬기 47대 이용, 30분 내 출동해 초동진화
$pos="C";$title="산불방지에 올인하고 있는 정광수 산림청장이 올해 산림정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txt="산불방지에 올인하고 있는 정광수 산림청장이 올해 산림정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size="450,676,0";$no="2010032515295254520_3.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아시아초대석] 정광수 산림청장
4월 3~6일 산불감시원 집중배치, 산불상황관제시스템 가동 등 비상근무
DMZ에 ‘한반도 생태평화벨트’ 건립, 생애주기형 산림복지, 재선충방제 성공신화도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정광수 산림청장(57)은 요즘 ‘산불방지’에 온 신경을 쓰고 있다. 산불의 대부분이 봄에 나기 때문이다. 산불대책회의, 현장 확인, 장비점검, 인력배치, 홍보에 행정력을 총 가동 중이다.
“올 들어 다행히 눈?비가 자주 와 산불이 적었다. 하지만 다음 달부터 남부지역의 가뭄예보로 산불이 동시다발·대형화될 소지가 있다. 또 ‘6·2지방선거’로 산불방지 지휘역량과 관심이 떨어질 우려가 있어 철저히 대비 중이다.”
정 청장은 “불이 나면 산림헬기 47대를 이용, 30분 내 출동시켜 대형 산불로 번지기 전에 끈다”고 말했다.
지형영향으로 봄철 대형 산불이 많았던 동해안 및 영남지역에 헬기를 전진 배치해놓고 있다. 특히 25일~4월 20일을 ‘산불특별대책기간’으로 정해 정부대전청사 산불종합상황실을 24시간 운영한다.
4월 3~6일엔 산불감시원 집중배치, 산불상황관제시스템(7800대) 가동 등 비상근무에 들어간다.
산불방지와 더불어 나무를 심고, 가꾸고, 이용하는 업무 챙기기에도 빈틈이 없다. 정 청장을 대전청사 집무실에서 만났다.
-한해 일어나는 산불은 어느 정도며 피해규모는.
▲지난해는 570건이 나 1381ha를 태웠다. 2008년(389건, 227ha)보다 건수는 47%, 피해면적은 6배가 늘었다. 최근 10년 평균(497건)과 비교하면 15%가 불었다.
-시기별론 언제 많이 일어나고 원인은.
▲3~4월이다. 최근 10년 사이 전체면적의 96%를 차지한다. 원인은 입산자 실화와 논?밭두렁?쓰레기 태우기가 69%로 대부분 부주의로 난다. 지난해는 사람·집·문화재 피해 등 대규모 산불은 없었으나 경기침체로 방화성 산불이 22건, 대형 산불은 2005년 이후 최다인 8건이 났다. 동시다발(144건, 887ha), 대형 산불(8건, 895ha)은 4월 중 영남에서 났다.
-왜 산불이 잦으며 그 특징은.
▲해마다 되풀이되는 건 우리나라만의 불씨취급문화에서 비롯된다. 청명·한식 때 산소를 돌보면서 향을 피우거나 유품을 태우는 행위, 농민들이 농사준비를 위해 논·밭두렁이나 비닐, 고춧대 등을 태우면서 난다.
논·밭두렁 소각은 3월(38%), 토?일요일(43%), 낮 12시~오후 3시(62%)에 잦다. 특히 입산자 실수가 42%, 논·밭두렁·쓰레기 태우기가 27%다. 담뱃불 실화 10%, 성묘객 실화 6%, 어린이불장난 등이 15%다.
특징적인 건 논·밭두렁 소각은 60대 이상이 72%, 지역민이 82%로 농·산촌 실정을 잘 보여준다. 최근 10년간 산불을 내고 끄려다 숨진 83명 중 논·밭두렁 소각이 69명이고 그 중 70세 이상이 53명이다.
-최근 잇따른 눈과 비로 산불이 나지 않아 좋을 것 같다.
▲짚신장사 아들과 나막신장사 아들을 둔 부모 맘이다. 산불이 예년의 1/3로 줄어 좋긴 하나 나무심기가 늦어져 걱정이다. 잦은 비로 산불이 2001년 이후 연일 최저기록이다. 반면 나무심기, 산림병해충 방제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달 들어 이틀에 한 번꼴로 눈·비가 오면서 지난 15일까지 산불 57건, 피해면적은 11ha에 그쳤다. 지난해 같은 기간(152건, 113ha)보다 건수는 38%, 면적은 10%에 머문다. 더욱이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12일까지는 한건도 안 났다.
최근 10년간 전혀 나지 않았던 건 2001년 2월 21일부터 3월 5일까지가 가장 길었다. 이달 들어서도 1~12일엔 나지 않았다. 이는 3월 산불론 1981년 이래 ‘30년만의 기록’이다.
-산림업무에 얼마나 차질을 빚고 있나.
▲이달 3~14일 잡았던 부산·울산, 경남, 전남·북 등지의 솔껍질깍지벌레 항공방제(6500㏊)에 차질이 빚어졌다. 올해 누적적설량이 2m가 넘은 강원도는 눈 녹기만을 기다린다.
-곧 다가올 건조기에 대비해야할 텐데.
▲눈·비가 와도 산불방지에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비상근무로 출동태세다. 날씨가 풀리면 나무심기 등을 속도감 있게 펼칠 것이다.
-산불을 막으려면 지역민들 협조가 있어야할 것으로 본다.
▲논·밭두렁은 읍·면·동장 책임아래 지정된 날에 태우고 3~4월 ‘소각금지기간’엔 금해야 한다. 산불감시원과 전문예방진화대도 도와준다. 올해는 처음 ‘논·밭두렁 소각금지기간(3월 10일~4월말)을 운영한다. 이때가 산불이 잦은 때다.
최근 10년간 논·밭두렁 및 쓰레기 소각으로 1388건이 났다. 2~4월은 1026건으로 74%다. 소각금지기간에 태우면 50만원, 인화물질을 갖고 산에 오르면 30만원의 과태료를 물린다.
-산불예방을 위해 국민들이 꼭 지켜야할 점은.
▲산불은 숲과 산속의 동식물을 태워 버리고 삶의 터전도 앗아간다. 복구엔 많은 돈이 들고 적어도 50년 이상 걸린다. 불씨는 바람이 불면 100m 이상 날아간다. 전원주택 등이 산 가까이에 있으면 야외에서의 불이용을 조심해야 한다. 연탄을 버릴 때도 조심해야 한다.
$pos="C";$title="집무실에 있는 세계지도를 짚어가며 산림외교 방향을 들려주고 있는 정광수 산림청장. ";$txt="집무실에 있는 세계지도를 짚어가며 산림외교 방향을 들려주고 있는 정광수 산림청장. ";$size="450,676,0";$no="2010032515295254520_4.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산림보호법이 새로 시행됐는데….
▲산불방지, 산림병해충 방제효율을 높이고 산림보호구역이 체계적으로 관리돼 녹색자원육성에 이바지할 수 있는 법체계를 갖췄다. 산림보호체계가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서 간단한 규정만 두고 훈령, 예규 등 행정지침으로 돼 법적지위가 약했다. 보안림과 산림유전자원보호림을 산림보호구역으로 합쳐 산림보호제도를 효율적으로 고쳤다.
-소나무를 말라 죽이는 재선충은 문제 없나.
▲2013년까지 다 없어진다. 현재 92%까지 줄었다. 방제전문작업단 운영, 철저한 이동통제, 완전작업시스템 마련으로 가능하다. 재선충방제는 우리가 성공신화를 낳아 세계최고다.
-‘문화재 숲 가꾸기 사업’이 눈길을 끈다.
▲양양산불로 낙산사 소실(2005년 4월), 숭례문 방화(2008년 2월)를 겪으면서 사찰과 목조문화재가 더 이상 불타선 안 된다는 인식에서 이뤄지고 있다. 전통사찰, 목조문화재 등 국보·보물의 80%가 숲속에 있다. 2008년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과 협약까지 맺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뤄지나.
▲문화재, 사찰을 산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문화재 주변 숲에 대해 이격공간과 완충지대를 만들어놓고 있다. 이격공간은 목재건축물 주위 숲을 띠 모양으로 베어내는 것이다. 완충지대 숲 가꾸기는 이격공간을 넘어선 숲에 대해서 한다.
지난해 목조건축물, 조계종·태고종 등 전통사찰 237곳의 주변 200㏊에 이격공간을 만들었고 숲 가꾸기를 했다. 올해는 문화재·전통사찰 276곳에 대해 ‘산불방지 숲 가꾸기’ 사업을 펼친다.
-올해 나무심기는 어떻게 이뤄지며 예년과 다른 점은.
▲식목일 앞뒤로 온 국민이 참여하는 나무심기행사를 벌인다. 올해는 난대지역 특성을 감안, 나무 심는 기간을 예년보다 긴 2월 하순부터 4월말까지 운영한다. 전국 2만1000ha에 3600만 그루를 심는다.
특히 백합나무처럼 탄소흡수력이 좋고 빨리 자라는 활엽수를 심어 바이오순환림(6000ha)을 만든다. 2020년까지 10만ha가 조성된다. 산에 나무를 심는 산주에겐 조림비도 지원한다. 올해는 4~5년 된 묘목을 심어 풀베기를 생략하고 인건비도 줄인다.
-‘특색 있는 나무심기’를 한다고 들었다.
▲생애주기형 산림복지를 위해 결혼·출산기념식수(제주), 감사나무심기(대전), 생태한방건강 숲(충북), 100년 명품 숲(충남), 남도특화 숲(전남) 등이 있다. 생명의 숲, 한국도로공사, 녹색문화재단 등과 나무 나눠주기(150만 그루)와 캠페인도 펼친다. 나무심기체험행사(147곳)를 열고 전국 130곳에 나무시장을 연다.
-심은 나무를 잘 가꾸는 일도 중요하다고 본다. 올해 계획은.
▲가꿔 줘야할 30년생 이하 숲이 전체 숲의 59%다. 울창한 숲을 경제·환경·공익적 가치와 편익, 품의가 발휘될 수 있는 산림자원으로 키우기 위해선 숲 가꾸기가 필수다. 따라서 올해는 2단계 숲 가꾸기 5개년계획(2009~2013년)에 따라 간벌, 가지치기 등 산림정비(23만ha)에 나선다.
2013년까지 숲 가꾸기 125만ha, 산물수집 650만㎥가 이뤄진다. 특히 고속도로변, 가시권의 칡, 가시박 등 덩굴류를 없애 아름다운 산림경관을 만든다.
-휴양림을 비롯한 숲 이용 활성화 방안은.
▲산림욕 때 피톤치드가 나와 맘에 안정감을 주고 암, 정신병, 피부병 등을 낫게 한다. 그래서 산은 환자들에겐 마지막 희망이다. 숲 치유를 위해 경북 영주, 예천에 2300억원을 들여 황토집(방 2개, 거실)을 저밀도로 지어 운영할 계획이다. 설계에 들어갔다. 휴양림도 지역별 특화를 꾀하고 몇 곳은 시범적으로 민간에 위탁, 경쟁력을 높이는 안도 검토 중이다.
-녹색일자리사업은 어떻게 이뤄지나.
▲올해 숲 가꾸기, 산림서비스증진, 산불방지 등 13개 사업에 8451억원을 들여 하루 평균 5만 명에게 녹색일자리를 만들어 어려움을 겪는 이들에게 도움을 줄 계획이다.
공모로 근로자를 뽑는 ‘공공산림가꾸기사업’ ‘산림서비스증진사업’ 등은 지난 1월부터 전국 기초자치단체(시·군·구)와 37개 산하기관에서 사업을 앞당겨 3월 현재 하루 2만2000명(연인원 84만7000명)을 고용, 정부의 일자리정책에 탄력을 붙이고 있다.
-최근 DMZ(비무장지대)에 ‘한반도 생태평화벨트’가 들어선다는 정부발표가 있었다.
▲생태·문화공간조성 확충, 관련콘텐츠 발굴, DMZ 이미지상징화, 홍보마케팅으로 DMZ를 관광명소화 시킨다. DMZ 횡단 자전거길, 생태탐방길, 숲길이 만들어진다.
최첨단장비로 원격에서 생태를 볼 수 있는 'U-ECO' 관찰센터, 세계적 생태평화공원, 산림휴양치유센터, 자연휴양림을 활용한 숲 체험원과 양구에 ‘국립 DMZ자생식물원’ 등이 들어선다. 지난 23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회의 때 보고했다.
-올해 역점을 둘 산림정책은.
▲산림을 품격 있고 가치 있게 만드는 일이다. 품격 있는 산림자원은 도로변·가시권 주변의 숲 정비로 선진한국의 표상이 되는 산림경관을 뜻한다. 가치 있는 산림자원은 숲을 잘 가꾸고 그 과정에서의 산물을 목재원료로 잘 활용하는 것이다.
숲 가꾸기를 집단화·규모화해 산물 수집을 늘리고 목재자원으로 활용하는 일관시스템을 전국으로 넓히겠다. 버려졌던 숲 가꾸기 산물을 목재펠릿으로 만들어 보급하는 연료혁명을 꾀하는 원년으로 삼겠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3개월 연속 100% 수익 초과 달성!
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