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경매 원 포인트레슨]"2회 유찰 물건은 피해라"... 경쟁률 최고


[아시아경제 오진희 기자]올 서울지역 아파트 경매에서 2회 유찰된 물건의 입찰경쟁이 가장 치열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경매정보업체 디지털태인에 따르면 지난 1월 1일부터 3월 9일까지 서울지역 아파트 낙찰물건 475건을 대상으로 유찰횟수에 따른 입찰경쟁률을 분석한 결과 2회 유찰된 물건의 입찰경쟁률이 9.72명으로 가장 높았다.

이 기간 동안 2회 유찰된 물건은 전체 낙찰건수의 22%인 105건으로 이 물건에 1021명이 몰렸다. 같은 기간 서울지역 아파트 평균 입찰경쟁률이 6.65명인 것을 감안했을 때 3.07명이 더 높다.


3회 유찰된 물건의 입찰경쟁률은 6.57명(14건/92명)을 기록했고, 1회 유찰물건이 6.07명(321건/1950명)을 나타냈다. 4회 이상 유찰물건과 신건은 각각 3.38명(8건/27명), 2.56명(27건/69명)으로 평균 입찰경쟁률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이같은 결과는 2회 유찰물건이 경매사고 없이 안전하면서도 큰 시세차익을 남길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해당물건은 유치권이나 선순위임차권 등 인수되는 권리 물건수가 상대적으로 적고 최저경매가도 감정가의 64%이기 때문에 시세보다 최대 30% 이상 싸게 낙찰 받을 수 있다.


반면 3~4회 이상 유찰된 물건들의 경우 유치권이나 선순위임차권 등 인수해야 하는 권리물건들이 많기 때문에 권리분석 및 임장활동을 철저히 하지 않는 한 자칫 큰 손해로 이어질 수 있어 경매초보자들이 쉽게 접근하기에엔 다소 부담스런 부분이 있다.


유찰횟수에 따른 낙찰가율은 신건이 103%로 가장 높았고, 1회 유찰물건이 90.06%로 같은 기간 서울아파트 평균 낙찰가율(85.14%)를 웃돌았다. 이어 2회 유찰물건이 76.52%, 3회 유찰물건이 59.96%, 4회 이상 유찰물건이 57.99%를 기록했다.


이정민 디지털태인 팀장은 "유찰횟수가 많아 큰 시세차익이 예상되는 물건일수록 입찰경쟁률이 높아져 낙찰가율이 80%를 상회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면서 "수익률을 보수적으로 잡고 감정가가 시세보다 싼 신건이나 1회 유찰물건을 노릴 경우 오히려 수익률이 더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종목 수익률 100% 따라하기


오진희 기자 valer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