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중위권 제약사 절반이 마이너스 성장

영업환경·약가정책 변화에 취약성 드러내
수년 내 합병·퇴출 피하기 어렵단 전망도


[아시아경제 신범수 기자]매출액 500∼2000억원 사이 중위권 제약사 중 절반이 지난해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정부가 리베이트 수수행위를 철저히 단속하고, 각종 약가인하 정책을 펼친 악영향이 특히 이들에게 집중됐음이 그대로 드러났다.

8일까지 12월 결산 상장 제약사들이 공시한 지난해 실적에 따르면, 매출액 500억원 이상 2000억원 미만 제약사 24곳 중 11곳의 영업이익이, 10곳의 당기 순이익이 감소했거나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은 업계 13위에서 37위에 속한 전형적 중위권 제약사들이다.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곳은 삼진제약, 현대약품, 삼일제약, 영진약품, 한올제약, 명문제약, 휴온스, 일성신약, 동성제약, 삼천당제약, 근화제약, 삼아제약 등이다. 반면 2000억원 이상 12개 상위 제약사 중 영업이익 혹은 당기순이익이 감소한 곳은 각각 3곳뿐이다.

중위권 업체들의 실적하락은 다분히 영업환경 변화에 의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들은 주로 카피약 판매에 치중해온 경향이 강한데, 리베이트 영업이 힘들어지면서 경쟁력을 상실하게 된 것이다. 정부는 지난해 8월부터 리베이트 적발업체의 약값을 강제 인하하는 새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보험약가가 제약사에게 가장 중요한 자산임을 이용한 매우 강력한 리베이트 억제책이다.


정부가 이들의 주력 사업 중 하나인 일반의약품을 건강보험 목록에서 제외시키고 있는 점도 악재로 작용했다. 파스나 소화제 등이 이에 해당된다. 특정 제품에 매출 대부분을 의존하는 사업구조를 가진 다수의 중위권 업체들이 크게 흔들리는 모습을 보였다.


이들의 앞날에 대해선 의견이 갈린다. 조만간 추가되는 또 다른 약가인하 정책 때문에 앞으로도 고생길이 훤하다는 전망이 다소 우세하다. 정부는 소위 '시장형 실거래가상환제'를 올 10월부터 시행할 예정인데, 제약사와 의료기관 간 '입찰 경쟁'을 유도하는 정책이다.


리베이트를 제외하면 '저가경쟁'외 별다른 영업무기가 없는 중위권 제약사 입장에선 '출혈경쟁'으로 인한 이익률 감소, 이 후 약가인하 조치라는 악순환에 빠지게 됐다. 이로 인한 중소형 제약사 간 인수합병(M&A)이 활성화 될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반면 고령화라는 큰 틀에서 보면 '제약산업은 여전히 유망하다'는 전망도 있다. 지난 수년간 정부가 다양한 압박정책을 폈음에도 제약산업이 매 년 두 자릿수 성장을 거듭했다는 '낙관론'에 바탕을 뒀다.


이에 관해 한국제약협회 관계자는 "중소형 제약사 중에서도 제품 경쟁력을 갖춘 일부는 고성장을 이어갈 수 있을 것"이라며 "하지만 규모의 경제상 신약개발이나 해외진출 등 굵직한 전략을 펴기 힘든 만큼, 대다수 중위권 제약사는 수년 내 합병 혹은 퇴출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종목 수익률 100% 따라하기


신범수 기자 answer@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