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신문 덮은 아이들
$pos="C";$title="";$txt="게임하는 아이들. 여가시간이 생기면 게임에 몰두하는 아이들. 책이 비집고 들어갈 틈이 없어 보인다.
";$size="393,298,0";$no="2010011114463368492_4.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아시아경제 박지성 기자]# "집에서 신문 보는 사람?" 20명이 모여 있던 강의실에서 손을 드는 아이는 단 세 명뿐이다. "자기가 안 읽어도 집에 신문 배달되는 사람은 손 들어주세요." 아까 세 아이의 손이 다시 올라간다. "요새 누가 신문을 봐요." "맞아. 인터넷(뉴스)도 잘 안 보는데." 장난 섞인 푸념이 여기저기서 터져 나온다.
이 웃지 못 할 촌극은 교육열이 높다는 경기도의 한 지역 학원 강의실에서 벌어진 일이다.
현직 고등학교 역사교사인 홍모(32)씨는 초임 교사 시절 신문 스크랩을 과제로 낸 적이 있다. 반 아이들 대부분이 인터넷 출력물을 가지고 왔다고 한다. 신문을 구독하는 가정 자체가 거의 없다는 이야기다.
홍씨는 "요즘은 학부모부터가 신문을 안 봐요" 라며 "상황을 아니까 신문 관련 과제를 낼 때부터 인터넷에서 찾아오라고 시킵니다"라고 말했다.
학원에서 국어과를 담당하고 있는 전직 교사 이모(40)씨는 "책도 안 읽는데 신문을 보겠냐"고 토로했다. 그는 "수행평가 과제로 독후감을 한 번 낸 적이 있는데 네다섯 단위로 내용이 똑같았다"라며 쓴웃음을 지었다.
네이버 등 인터넷 포탈 검색을 통해 그대로 베껴서 냈다는 소리다. "책을 사기는 하는데 나머지 녀석들도 머리말이랑 꼬리말만 보고 대강 적어 냈다"라며 "진짜 책을 읽은 애들은 서너명도 안된다"고 이씨는 한탄했다.
$pos="C";$title="학생 독서율 변화 추이";$txt="학생 독서율 변화 추이";$size="550,294,0";$no="2010011114463368492_2.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그냥 안 읽어요=실제 중고등학생들의 독서량은 현저히 떨어진다. 올해 고 1이 된다는 김(16)모양은 "남는 시간에는 그냥 게임하지 책보는 애들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또 다른 이모(16)군도 "책 보라고 시키는 사람도 없다"고 거들었다. 한 달에 두 권 이상 보는 사람을 찾는 질문에 대답하는 아이들은 거의 찾을 수 없는 실정이다.
'학원이 바쁘거나 공부할 분량이 많다'거나 하는 이유보다는 '그냥 안 읽는다'는 대답이 대부분이었다.
교사들과 아이들의 현실 인식은 조금 차이가 있었다. 만나 본 대부분의 교사들이 인터넷 문화나 학원 등의 입시위주 교육 등을 책과 신문과 멀어지는 이유로 꼽았다.
반면 아이들의 대답은 한결 같았다. 시간이나 방법과는 상관없이 책이나 신문을 볼 이유가 없다는 것이었다.
정보통신이나 교육 환경의 변화가 책과 신문에서 멀어지게 만드는 기본 환경일 수 있지만 아이들에게는 그런 인식조차 없었다. 책과 신문은 그냥 관심 밖의 대상이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해 발표한 '국민 독서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08년 초ㆍ중ㆍ고교생의 독서율은 89.1%로 전년도 90.6%에 비해 1.5%포인트 낮아졌다.
열 명 중 한 명 이상이 1년간 교과서나 참고서가 아닌 일반 도서를 한 권도 안 읽는다는 말이다. 조사에 따르면 초등학교 때 하루 52분이던 독서 시간은 중학교 땐 38분, 고등학교 땐 34분으로 감소하다가 성인이 되면 29분으로 줄어든다.
$pos="C";$title="여가 활용시 독서의 비중(학생) ";$txt="여가 활용시 독서의 비중(학생)";$size="550,349,0";$no="2010011114463368492_3.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성인도 책보다는 인터넷=이같은 풍토는 비단 학생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독서 시간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 우리나라 성인의 독서율은 학생들에게 부끄러운 수준이다.
위 조사에 따르면 성인 10명 중 3명이 1년에 책을 한 권도 안 읽는다. 연간 도서구입비도 9600원에 불과했다. 얇은 책 한권도 만원이 넘는 요즘 시세를 생각 할 때 일 년에 책 한권도 사지 않는다는 계산이 나온다. 어른들의 인식이나 행동부터가 책 읽는 환경 조성과는 거리가 있다.
책 읽는 사회 만들기 국민운동의 어희재 연구원은 "어른들이 환경을 만들어주지 않으면 아이들은 독서의 필요성조차 느끼지 못한다"며 "어릴 때부터 책을 읽어야 한다는 인식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부모를 중심으로 한 어른 세대의 역할이 중요한 데 그들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또 한 방송국에서 보도된 제천의 초등학생 사례를 언급하며 "어릴 때부터 제천 기적의 도서관을 이용하던 초등학생이 서울로 전학을 가면서 부족한 도서관 시설에 실망하는 대목이 나온다"며 "그 초등학생이 '나에게 힘이 있다면 제천의 도서관을 뿌리 채 뽑아가고 싶다'고 말하는 것을 보면 우리의 독서 환경이 얼마나 열악한지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 모 고등학교의 교사는 "책이나 신문을 가지고 하는 교육이 제대로 진행이 되지 않는다. 그래서 교육에 잘 활용하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고등학생을 키우는 한 학부모는 "책이나 신문을 보라고 시키고 싶어도 성적관리를 생각하면 그럴 수 없다"고 아쉬워했다.
그러나 가장 주도적으로 독서교육을 이끌어야 할 어른들이 독서교육을 먼저 외면하고 있는 현실에서 아이들이 신문이나 책과 멀어지는 이유를 꼭 입시위주 교육이나 인터넷 문화에서만 찾을 필요는 없다는 지적도 나왔다.
[상식이 무너진 사회, 교육을 다시 세우자] 기사 더보기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성공투자 파트너] - 아시아경제 증권방송$pos="C";$title="";$txt="게임하는 아이들. 여가시간이 생기면 게임에 몰두하는 아이들. 책이 비집고 들어갈 틈이 없어 보인다.
";$size="393,298,0";$no="2010011114463368492_4.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박지성 기자 jiseong@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