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멕시코, 내년에도 유가 헤지로 한몫 챙긴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총 2억3000만배럴 가격하락 위험 헤지..행사가 57달러 풋옵션 11억7200만달러에 매입

[아시아경제 김경진 기자]올해 유가 헤지로 톡톡히 재미를 본 멕시코 정부가 내년도 유가전망을 바탕으로 또 한번 베팅에 나섰다.


멕시코 재무장관 아구스틴 카스텐스은 8일 멕시코 당국이 내년 원유 순수출물량 2억3000만배럴의 가격 변동성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배럴당 57달러에 매도가 가능한 풋옵션을 11억7200만달러의 프리미엄을 내고 매수했다고 밝혔다.

거래 상대자는 정확히 밝히지 않았으나 로이터 통신 등 주요 외신은 바클레이즈가 유력하다고 전하고 있다.


금번 멕시코 원유 풋옵션 매입 계약은 올해 헤지물량보다 1억배럴 적다. 하지만 내년도 멕시코 원유 수출이 일평균 110만배럴, 원유 관련 수입이 50만배럴임을 감안할 때 일평균 63만배럴을 헤지하는 셈이어서 순수출분 전량에 대한 가격하락 위험을 사전에 차단한다는 것은 큰 의미를 지닌다.

멕시코 경제의 원유사업 의존도가 높은 것을 감안한다면 내년 유가 전망 평균 59달러에 행사가 57달러짜리 풋옵션을 매수한다는 것은 내년도 유가에 대해 매우 보수적인 입장을 피력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일평균 50만 배럴에 달하는 원유가공품을 수입하는 멕시코가 수입에 대한 헤지는 하지 않고 유독 수출에 대해서만 헤지를 하고 있는 것도 멕시코의 유가 하락 전망을 강하게 시사하는 부분이다.


골드만 삭스를 비롯한 주요 기관들이 내년도 유가 평균을 배럴당 90달러로 전망하고 지속적인 유가 상승을 예상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행보다.


일반적으로 원유 수출국들이 원유가격 변동성 회피를 위해 스왑이나 선물거래를 이용하는 데 반해 옵션을 이용하는 멕시코의 헤지는 더욱 공격적이다.


이번 거래에서 멕시코가 액면가의 약 7%를 프리미엄으로 지급한 것처럼 풋옵션 매입자의 경우 초기 현금유출이 발생하고 기초자산 가격 움직임이 매입자의 예상과 어긋날 경우 지급한 프리미엄은 모두 손실이 되기 때문이다.


일단 시장관계자들은 멕시코의 원유 헤지 능력이 대형 항공사를 비롯한 기타 골리앗 시장 참여자들보다 월등히 뛰어나다며 멕시코의 행보에 주목하고 있다.


이미 멕시코는 작년 유가 급락을 계기로 올해 수출 원유 2억4000만배럴에 대해 배럴당 70달러로 헤지해 결과적으로 총 50억8500만달러의 막대한 수입을 거둬들였기에 시장이 멕시코 원유 헤지에 더욱 주목할 수밖에 없다.


PFG베스트 리서치 에너지 선물 애널리스트 필 플린은 "멕시코가 또 한번 똑똑한 거래를 성사시켰다"며 "달러가 강세로 돌아서고 글로벌 오일수요가 다수의 기대만큼 빠르고 강하게 회복되지 않을 경우 유가가 멕시코 전망 레벨로 추락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고 이 경유 멕시코는 또 한번 큰 수익을 얻을 것이다"고 밝혔다.

김경진 기자 kjki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김경진 기자 kjkim@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