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디지털액자, 일반 사진액자 대체 물결

특허청, 1999년 이후 늘어나 2008년까지 233건 출원 늘어

[아시아경제 최장준 기자] LCD를 쓴 디지털액자가 일반사진액자를 바꾸고 있다.


3일 특허청에 따르면 디지털 액자와 관련 특허출원은 1999년 7건에 그쳤지만 2000년 20건을 시작으로 활발해져 지난해까지 233건 나왔다.

이는 필름카메라가 디지털카메라로 바뀌고, 카메라폰이 대중화되면서 찍은 영상을 보관·감상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출원인별론 2008년 말까지 개인출원이 전체의 37%를 차지하는 것을 비롯해 중소기업이 36%, 대기업이 27%로 뒤를 이었다.

개인·중소기업의 출원비중이 높은 건 디지털액자기술의 원천분야보다는 디스플레이응용기술로서 IT기술의 컨버전스분야가 쉽게 다가갈 수 있기 때문이다.


기술에선 초기 영상디스플레이방법이나 텔레비전·휴대폰 등에 액자기능을 표현하는 방법 등이 출원됐으나 최근엔 네트워크를 쓴 영상의 전송·관리기능을 더하고 MP3 및 동영상재생 등 멀티미디어기능을 더 한 디지털액자기술이 출원되고 있다.


특허청은 네트워크 및 멀티미디어 기능을 더해 디지털액자의 컨버전스를 넓히는 특허출원이 늘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허청 관계자는 “핵심기술 발굴 및 원천특허를 얻기 위한 여러 지원정책을 벌이고 있어 국내기업들이 이를 이용, 디지털액자시장을 이끌길 바란다”고 말했다.

최장준 기자 thispro@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