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개발 방식·단계 등 상황 달라...송도국제도시 부도날 일은 없을 것"
$pos="C";$title="";$txt="인천 송도국제도시 전경. 사진제공=인천경제자유구역청";$size="550,366,0";$no="2009120309481498119_1.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두바이가 몰락했다. 그럼 인천 송도국제도시는?"
두바이의 모라토리엄(채무불이행) 선언 이후 국내의 유사한 개발 사례인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인천시는 두바이가 전 세계 국제 도시 개발의 '모범 사례'로 손꼽히던 지난 몇 년 간 '제2의 두바이'로 송도를 개발하겠다는 방침을 대내외에 천명해 왔다.
따라서 두바이가 부동산 버블 붕괴와 금융위기로 자금조달이 끊기면서 몰락하자 송도도 두바이의 뒤를 따라 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실제 송도도 금융위기로 인해 자금조달이 어려워져 151층 빌딩 건설 계획이 차질을 빚고 외자 유치 실적이 매우 저조하다는 사실이 강조되는 등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최근 인천도시개발공사의 채무가 급증하고 경영상태가 어려워지자 두바이의 몰락을 이끈 국영개발회사 두바이월드의 전철을 밟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송도와 두바이는 상황이 다르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우선 두바이와 송도는 개발 방식에서 많은 차이가 난다.
두바이는 인구 150만 명의 조그만 사막 도시인데다 석유도 나지 않아 외국 자본ㆍ외국인 노동력 등에 100% 의존했다.
또 제조업 기반이 부족한 상태에서 부동산 개발ㆍ주거ㆍ휴양시설 등에 치우쳤다. 거품 붕괴에 취약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송도는 국내 자본 위주로 건설되고 있다.
또 전체 개발 면적 5340만여㎡ 중 주택건설용지는 9.9%(527만9000㎡)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첨단 고부가가치 제조업, R&D, 비즈니스서비스 등의 '클러스터'로 조성된다.
허동훈 인천발전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현재까지는 국내자본이 투입돼 주거시설과 학교, 상업시설 등 외국인 정주조건 마련을 위한 기반시설을 짓고 있는 상태"라며 "내년부터 첨단 고부가가치 제조업, R&D, 비즈니스서비스 분야의 외자 유치에 나설 경우 상당한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성만 인하대 행정대학원 겸임교수도 "두바이는 무제한적인 규제완화를 통해 외국인 자본과 노동력을 끌어다 개발을 했고 후분양제를 실시해 부동산 버블 붕괴의 타격이 컸다"며 "송도는 유치된 외국인 직접 투자가 6억여 달러에 불과할 정도여서 역설적으로 금융 위기에 별 영향을 받지 않고 있으며, 부동산 버블도 선분양제로 소비자들이 다 감당해 부도날 상황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두바이가 '성인병'으로 쓰러진 중년이라면 송도는 이제 갓 성장을 시작한 '청소년'이라는 점도 차이점이다.
허 연구위원은 "송도는 현재 1차 개발 계획이 마무리돼 겨우 기반시설 조성만 끝난 상태로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외자 유치에 나설 것"이라며 "10여년 전부터 개발을 시작해 건설ㆍ부동산 개발과 주거ㆍ휴양지 조성에만 치중하다 쓰러진 두바이와는 다르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한편에선 여전히 지난해부터 지속되고 있는 세계적 경제 침체가 결국 송도의 앞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우려도 상당했다.
허 연구원은 "금융 위기로 151층 랜드마크 빌딩 건설 계획 등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의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고 있다"며 "장기화될 경우 해당 개발 사업들이 미뤄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도 "앞으로 상당 기간 동북아트레이드센터 등 이미 조성된 업무 시설의 입주율이 매우 낮을 것으로 보인다"며 "국제 금융 위기와 경제침체로 송도국제도시의 성장 가능성이 매우 줄어든 상태"라고 우려했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