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日 JAL 긴급 구제금융, 해 넘긴다

[아시아경제 조해수 기자]일본의 자존심 일본항공(JAL)의 구제 금융이 해를 넘길 전망이다.


10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기업회생지원기구 니시자와 히로시게 사장은 지난 9일 "구제 금융을 위한 실사작업이 빨리 이뤄지지는 않을 것"이라며 "우리는 올해 말까지 JAL에 긴급구제금융을 지원할 것인지에 대해 결정을 내리지 않을 것이다"고 밝혔다.

또한 니시가와 사장은 기업회생기구가 정부의 TF팀이 작성한 계획안과 다른 JAL을 위한 새로운 계획을 세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신세이 증권의 마쓰모토 야스히로 애널리스트는 "JAL은 당장 올해 말까지 자금이 필요한 실정"이라면서 "그러나 민간 업체가 JAL에게 융자해주는 것은 어려울 것이다"고 말했다. JAL은 10시30분 현재 1.9% 떨어진 103엔에 거래되고 있다. 올해 JAL의 주가는 50% 폭락했는데 이는 니케이 225 주가 평균에서 최대 하락폭이다.

1987년에 민영화된 JAL은 전 정부 아래에서 3번의 긴급구제를 받았다. 그러나 JAL은 여전히 150억 달러의 채무를 안고 있으며 단기 채무를 해결하기 위해 조달받은 브리지론 또한 1000억 엔에 달한다.


JAL은 정부에 구제금융을 신청하기 전 총 근로자의 14%에 달하는 6800명을 해고하는 내용의 자구안을 제출했었다. 그러나 정부는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마에하라 교통성 장관은 "JAL이 공적 자금을 지원 받기 위해서는 대대적인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며 "비대해진 조직을 원래대로 되돌리는 것을 포함해 항공기를 줄이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JAL의 퇴직연금이 3300억 엔에 달하는 부채를 안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퇴직자 기업연금의 삭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JAL의 퇴직자 연금을 삭감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을 제정할지 고민 중이다.


한편 요미우리 신문은 정부가 당분간 JAL의 항공기 착륙료를 받지 않을 것이라며 JAL이 연간 착륙료로 1000억 엔을 지불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조해수 기자 chs900@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