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녹색시대]철도망 확대·전기차 조기 상용화

그린홈 200만가구 신설·개보수...


[아시아경제 소민호 기자] 정부가 국토 전반에 걸쳐 녹색성장을 할 수 있도록 밑그림을 발표하면서 국가경제적 파급효과가 적지 않을 전망이다. 

건설업계는 그린홈 건설은 피할 수 없는 대세라면서 지구온난화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임과 동시에 소비자들의 생활이 편리하면서도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저마다 목표를 세우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기술개발이 보다 활발히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건설업계는 그린홈을 건설할 경우 적게는 가구당 500만원 정도 분양가가 올라갈 수밖에 없다면서 보다 저렴하면서도 효율이 높은 자재개발이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따라 그린홈에 투입되는 자재를 생상하는 업계의 기술개발이 보다 활성화되는 계기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건설업계, 그린홈 개발 박차= 우선 대형건설업계는 그린홈 개발에 적극 뛰어들었다. 삼성건설은 경기도 용인시 동천동에 친환경 기술을 적용한 시범주택 '그린투모로우'를 건립 오는 9일 일반에 공개한다. 그린투모로우에는 지열에너지와 태양광발전, 태양열급탕 등 친환경 그린기술 70여가지가 적용됐다. 삼성은 그린투모로우를 통해 축적된 데이터를 분석해 최적의 설계와 시공을 통해 개별 사업장에 적용할 방침이다.


대우건설은 지난 8월 2020년까지 전기료와 냉난방비를 한푼도 내지 않아도 되는 제로 아파트를 선보이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밝혔다. 대우건설이 '그린 프리미엄(GREEN Premium)'을 통해 푸르지오 아파트에 적용할 계획인 친환경ㆍ신재생 에너지 기술은 모두 48가지다.


대우건설은 단계적으로 적용 범위를 늘려 2011년 에너지 소비량을 절반으로 줄이고 2014년 지금 쓰는 에너지소비량의 70% 수준까지 절약이 가능하도록 할 방침이다.


GS건설은 서울 마포구 서교동 자이갤러리에 '그린스마트 자이' 홍보관을 열고 친환경 미래주택 건설에 본격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일반인들도 이 홍보관을 통해 지능형 전력망이 적용된 에너지 절감형 친환경 미래주택을 체험할 수 있다.


◇어떤 내용 담겼나= 오는 2012년부터 지어지는 모든 건축물은 난방에너지 저감을 위해 2배 강화된 창호 단열기준이 적용된다.


이어 2025년부터는 외부에서 에너지 제공을 받지 않고 내부에서 자급자족하는 '제로에너지건물'로 신축해야 한다. 이를 통해 건축물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이 2005년 수준에 머무르게 된다.


또 2012년부터 건축물 매매ㆍ임대시 에너지소비증명서 발급이 의무화된다. 인증받은 건물에 대해서는 취ㆍ등록세가 최대 15%까지 절감되며 환경개선부담금도 감면된다.


에너지 절감목표가 의무화됨에 따라 건설업계의 그린홈 달성을 위한 노력이 보다 탄력을 받게 됐다. 에너지절감 자재나 시스템업체의 연구개발도 활성화될 전망이다.


국토해양부는 5일 대통령 주재로 열린 녹색성장위원회 제6차 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녹색 건축물, 녹색도시, 녹색교통 활성화 계획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장기계획에서 확정된 부문별 에너지 절감계획은 정부의 종합처방 성격을 띤다.


우선 건축물에 대해서는 에너지소비 요소별 설계기준이 제시됐다. 건축물의 가장 큰 에너지소비 요인인 난방에너지 저감문제는 창호와 외벽 등의 단열기준 강화를 통해 풀기로 했다. 창호의 단열기준을 2012년까지 지금보다 2배 수준으로 높이고 외벽과 지붕 등의 단열기준도 점진적으로 강화하기로 했다.


증가추세인 냉방에너지 저감을 위해서는 내년 설계기준을 신설, 에너지절약 설비적용을 활성화하도록 했다.


또 내년부터 에너지소비총량제를 도입, 주거용 건물은 2012년 냉난방에너지 50%를 감축하는 등 지금보다 30% 총에너지를 감축하도록 하고 2017년 60%, 2025년 제로에너지를 의무화하도록 했다. 비주거용 건물도 제로에너지 의무화 시기는 주거용과 같게 목표를 정했다. 다만 2012년 15%, 2017년 30%, 2020년 60% 등으로 단계를 세분했다.


◇신도시, 에너지 절약형으로 건설= 보금자리주택 100만가구에 대한 그린홈 건설기준도 나왔다. 에너지 소비를 30% 수준 절감하고 관리비를 15% 절감토록 한다는 것이다. 국토부는 전용면적 85㎡기준 보금자리주택의 경우 월평균 관리비가 15만원에서 13만원으로 절감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존 건축물 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해선 2012년부터 건축물 임대ㆍ매매시 연간 에너지 소비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 등을 표시한 에너지 소비증명서 발급이 의무화하기로 했다. 또 2011년부터 녹색건축물 관련 인증제도를 기존 건축물로도 확대 적용하되 내년부터는 인증건물의 취ㆍ등록세를 15%까지 깎아주고 환경개선부담금도 감면해주기로 했다.


녹색도시 조성은 에너지 절약형 도시계획 수립, 자원 순환형 도시기반 구축, 생태형 도시공간 창출 등으로 추진된다. 우선 내년 검단ㆍ동탄2지구 등을 녹색도시시범사업 지구를 지정했다. 이에따라 검단신도시는 난방에너지를 90% 절약하는 패시브 하우스와 신재생에너지가 도입돼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는 국내 최초의 탄소배출 제로단지로 조성된다.


중장기적으로는 녹색도시 요소를 도시재생사업과 연계, 구도심에 확대 보급해 기존도시 녹색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교통부문에서는 기존 도로 위주에서 철도 위주로 교통 패러다임을 바꾼다. 신규 도로사업 투자를 억제하고 철도 건설을 적극 추진, 대도시권 철도망을 2012년까지 현재(831km) 보다 1.3배 수준(1054km) 늘리기로 했다. 고속철도망을 조기 완공, 경부2단계는 내년까지, 호남은 2014년 완공할 계획이다.

소민호 기자 smh@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