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C";$title="준공업지 일대 집값, 서울 평균 3배 '급등'";$txt=" ▲ 서울의 대표적 준공업지역으로 꼽히는 금천구 독산동 대한전선 부지 일대";$size="480,284,0";$no="2008071609015634378_1.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아시아경제 고형광 기자] "전화 한 통 걸려오지 않는 사무실에서 지난주까지는 코리안시리즈를 보는게 낙이였어요. 아파트 값이 수천만원씩 오르면서 매수자와 매도자로 북적거렸던 지난해 상반기와는 딴판이네요"
준공업지역에 대한 활성화 대책이 발표됐지만 구로구, 영등포 등 이 일대 공인중개 사무소들은 한산한 모습이다.
서울시가 지난 14일 낡은 공장과 주택이 뒤섞여 낙후했으나 그동안 엄격한 도시계획에 묶여 방치돼 왔던 서울의 준공업지역에 대해 최대 400%(현재 250%)의 용적률로 아파트를 지을 수 있게 하는 등 규제를 대폭 완화하는 '서울시 준공업지역 종합발전계획'을 발표했지만 시장의 반응은 무덤덤하다.
이번 서울시의 준공업지역 종합계획 발표에 따라 해당 지역의 지가가 급등하는 등 부동산 시장에 적지 않은 파장이 예상됐지만 열흘이 지나도록 시장은 조용하기만 하다.
구로구, 금천구 등 준공업 밀집이역은 지난해 주택시장의 전반적인 침체 속에서도 가격 급등세를 보여왔던 터라 더욱 싸늘하게 느껴진다.
지난해 초 뉴타운 광역개발과 준주거지역 아파트 건립 허용 소식으로 이미 크게 올라 버린 집값에 매수부담을 느끼는 실수요자가 늘어난 데다 개발호재도 모두 가격에 반영돼버린 탓이다.
구로구 신도림동의 한 공인중개 관계자는 "지난해 4월 뉴타운식 광역개발이 발표되면서 매수세가 급격히 형성됐고 이후 준주거지역에 아파트를 지을 수 있다는 소식까지 더해져 강세를 이어갔다"면서 "하지만 가격이 너무 오르다 보니 매수세가 어느샌가 사라져 버렸다"고 말했다.
서울시의회가 서울의 준공업지역 공장부지에 대해 최대 80%까지 아파트 건립을 허용하도록 하는 내용의 도시계획조례 개정안을 통과시켜 공장밀집지역이 아파트단지로 바뀔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된 지난해 7월과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또 다른 공인중개 관계자는 "지난해 서울시 첫 발표때에는 매달 20여건의 거래가 이뤄지면서 중개업소마다 매수자와 매도자로 북적거렸지만 지금은 사정이 크게 달라졌다"며 "이렇게 한산해진 것은 벌써 1년 가까이 됐다"고 말했다.
실제로 서울의 가장 대표적인 준공업지역으로 꼽히는 구로구의 경우 지난해 초 서울시의 발표 이후 개봉동, 구로동 일대를 중심으로 매매가가 급등했다.
구로구 개봉동의 한 공인중개 관계자는 "개봉동 한마을 아파트 전용 60㎡형은 지난해 1월만 해도 2억7000만원대에 거래됐었는데 서울시 발표 전후인 지난해 6월에는 3억4000만원까지 거래돼 7000만원이나 뛰었다"면서 "하지만 이후 약보합세를 보이다 현재는 3억1000만~3억2000만원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수요자들이 지금 매수에 나설 경우 자칫 '상투'를 잡을 수도 있다는 불안감이 커진데다 각종 개발호재가 이미 가격에 반영돼 추가 상승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이다.
현지 중개업계에서도 하반기 이후 어느 정도 거래 활성화가 될 수 있겠지만 그동안의 급등세로 추가 상승은 당분간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구로동의 한 공인중개 관계자는 "저평가 매력에 솔깃했던 수요자들이 지금은 대부분 관망세로 돌아섰다"며 "부동산 정책변화나 경기활성화 등의 대외적 변수가 없다면 연말까지는 약보합세가 지속될 것 같다"고 말했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