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유틸리티산업 발전은 장기적..신사업창출 관건<삼성硏>

[아시아경제 박충훈 기자]일상 생활의 인프라를 공급하는 유틸리티 산업은 장기적이고 차별화된 마스터플랜을 통해 이뤄져야한다는 분석이 제기 됐다.


삼성경제연구소는 15일 '유틸리티산업의 미래 발전방향' 보고서를 통해 국가 인프라를 공급하는 유틸리티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정부와 기업이 해결해야할 과제를 제시했다.

유틸리티산업은 국민의 일상생활 및 산업생산에 필요한 전력ㆍ가스ㆍ수도ㆍ통신 등 사회 인프라 서비스를 공급하는 산업을 뜻한다.


보고서는 유틸리티산업을 둘러싼 환경변화가 극심한 상황에서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장기적인 마스터플랜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다양한 인프라 설비의 기술발전과 미래사회의 니즈를 예측하고 이러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장기적인 정책 로드맵을 수립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분산형 기술을 육성하고 업종 간 컨버전스를 장려함으로써 유틸리티산업의 경쟁을 촉진하는 정책을 개발해야한다고 조언했다.


정부는 분산형 유틸리티시장의 부상을 수용하고, 기존의 중앙집중형 시스템과 조화시킬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력, 가스, 난방 등의 분야에서 컨버전스를 촉진하고 연료전지, 마이크로터빈, 히트펌프 등 융합기술 관련 연구개발을 지원해야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더불어 유틸리티산업을 포괄하는 IT기술('스마트 에너지 & 워터 그리드')의 개방형 표준화를 선도해 컨버전스를 촉진하기 위해선 다양한 분산설비를 통합 관리하는 원격제어ㆍ네트워킹 기술의 표준화가 급선무라고 내다봤다.


기업에게는 차별화된 서비스와 신사업 창출을 과제로 제시했다. 유틸리티산업의 발전축을 감안한 상품ㆍ서비스를 선제적으로 개발해 성장의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전기차가 활성화될 경우 직류전기 관련 기술개발 및 인프라 구축 등에 관련된 선행투자를 적극 고려해야한다.


또 요금인상에 인색한 소비자들도 비용을 기꺼이 지불할 만한 차별화된 프리미엄 서비스를 개발하도록 노력할것을 당부했다. 상수도 요금(1t 당 평균 430원) 인상에 대해서는 저항이 심하지만, 가격이 100배 이상 비싼 정수기는 스스로 구매하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끝으로 유틸리티산업의 진화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IT, 건설 및 엔지니어링부문에서의 새로운 사업기회를 발굴할 것을 조언했다. 보고서는 전 세계적으로 유틸리티 부문 시설투자는 2030년까지 연평균 2조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에너지와 IT 분야에서 여러 관련 사업을 발굴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박충훈 기자 parkjovi@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