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강북의 새 휴식처 '북서울꿈의숲' 17일 개장


[아시아경제 조영주 기자] 강북주민들의 새로운 휴식처가 될 '북서울꿈의숲'이 2년여간의 공사를 마치고 오는 17일 개장한다.


서울시는 예산 3339억원을 투입해 옛 드림랜드 부지와 인접 지역을 매입, 조성한 부지 66만2627㎡ 규모의 북서울꿈의숲을 17일 공식 개장하고, 향후 90만여㎡까지 공원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15일 밝혔다.

이는 월드컵공원(276만㎡), 올림픽공원(145만㎡), 서울숲(120만㎡)에 이어 서울에서 네번째 큰 규모로 보라매공원(42만㎡)의 두배가 넘고, 광진구 어린이대공원(56만㎡)에 비해서도 1.6배에 이른다.


특히 강북, 성북, 도봉, 노원, 동대문, 중랑 6개구를 둘러싸는 강북 심장부이자 주거 밀집지역에 북서울꿈의숲이 들어섬에 따라 이 지역 주민들의 생활여건이 크게 좋아질 전망이다.

북서울꿈의숲은 숲속 산책로와 자전거도로, 북한산·도봉산·수락산의 절경과 함께 CCTV를 곳곳에 설치해 경관은 물론 안전과 편의 측면에서 서울 최고 수준의 공원으로 조성됐다.

우선 출입구를 들어서면 길게 뻗은 벚꽃길과 자전거도로가 펼쳐진다. 오른쪽의 단풍숲과 함께 봄과 가을 최고의 운치를 즐길 수 있다. 자전거도로는 외부와 연결돼 강북구뿐 아니라 도봉, 노원, 중랑구에서도 자전거로 방문할 수 있다.

주차장 뒷편에는 수로정원, 사계원, 브라운가든, 화목원 등 5개 테마의 '야생초화원'을 조성하고 계곡물을 7개의 폭포 경관으로 연출한 '칠폭지'를 만들었다.


공원 중심부에는 정자 '애월정'과 7m 높이의 '월광폭포'를 끼고 있는 1만1800㎡ 크기의 대형 연못 '월영지' 주변에 앉아 물과 녹지가 어우러진 자연정취를 즐길 수 있다. 너머로 가면 서울광장의 2배 규모인 초대형 잔디광장이 있어 아이들이 마음껏 뛰놀 수 잇다. 월영지 주변에는 전통 한옥 '창녕위궁재사'(등록문화재 제40호)의 원래 모습을 되살렸다.

지상3층 건물 높이 49.7m의 전망대에 올라서면 북쪽으로는 북한산, 도봉산, 수락산의 절경이 파노라마로 펼쳐지고 남쪽으로는 남산과 한강까지 한눈에 들어온다. 미술관과 방문자센터, 402대 규모 주차장과 150대 수용 규모의 자전거 보관소, 태양광발전시설 등의 문화·부대시설도 마련됐다.


총면적 7,475㎡의 복합문화예술공간 '꿈의숲 아트센터'가 들어서 정명화 독주회, 장한나 독주회와 같은 고품격 콘서트와 뮤지컬, 연극 등 문화예술을 언제든 만나게 된다. 지하2층, 지상2층인 아트센터에는 퍼포먼스홀(283석), 콘서트홀(297석), 다목적홀, 갤러리 등의 시설이 들어섰다.


테이크아웃이 가능한 퓨전 이탈리안 레스토랑 글래스파빌리온, 퓨전 차이니스 레스토랑은 중저가로 이용할 수 있다. 미술관위 옥상까페, 스탠드형의 40석 규모로 델리형식의 간단한 식음료가 판매되는 전망대 까페에서는 자연을 느끼기에 충분하다. 교통방송(tbs)의 라디오 방송용 상설 오픈 스튜디오도 들어선다.

서울시는 설계단계부터 여성과 노약자의 편의시설 확보에 신경을 썼다. 옥내 44개와 옥외 30개의 CCTV를 설치하고 곳곳에 비상벨도 마련했다. 상시 긴급출동이 가능하도록 공원 경비실과 연결되고 야간순찰도 수시로 실시한다.


자가용 이용 여성을 위해 402대 주차 공간 중 80대는 여성전용 공간으로 배려했고, 아이들을 데리고 나온 엄마들을 위해 유모차 대여와 아늑한 모유수유실, 미아보호소도 마련했다. 화장실에는 파우더룸까지 만들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북서울꿈의숲 개장은 강북지역 주민들의 생활에 변화를 줄 만큼 획기적 계기가 될 것"이라며 "서울을 대표하는 세계적 공원으로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오는 17일 오후 6시30분에 북서울꿈의숲 대형 잔디광장에서 열리는 개막식에는 시민 1만여명이 함께하며 7시부터는 인순이와 브라운아이드걸스, 카라, 포미닛, MC몽 등 정상급 가수들이 출연하는 개장기념 MBC특집 콘서트도 펼쳐진다. 앞서 오후 2시30분부터 6시까지 방문자센터 및 산책로 주변에선 소원나무 리본달기, 페이스페인팅, 석고마임 등 시민이 참여하는 식전행사도 진행된다.

조영주 기자 yjcho@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