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호주 기준금리 인상과 G20공조의 상관관계는?

세계 경기회복을 위한 공조차원..기준금리조절은 각국 상황에 맞게

[아시아경제 박성호 기자]호주중앙은행(RBA)이 현지시간으로 6일 예상 밖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하자 주요 20개국(G20)회의의 국제공조가 깨진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다른 국가들로 금리인상이 확산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미 지난 8월 이스라엘이 선제적으로 금리인상을 단행했지만 호주의 금리이상은 G20 가운데 처음이기 때문에 세계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하지만 국제공조의 틀이 깨졌는 지 여부는 국제공조에 과연 각국별 금리인상 시기가 포함됐느냐에 달려있다.

지금까지 청와대와 기획재정부는 명시적으로 표현하지는 않았지만 금리인상도 국제공조의 한 틀로 봐 온 것이 사실이다.


그동안 이명박 대통령과 윤증현 기획재정부, 진동수 금융위원장 등은 모두 출구전략 시기상조론을 강조하면서 행간에서 금리인상도 국제공조의 한 틀에서 본다는 함의를 전달해 왔다.


한국은행의 생각은 조금 다르다.


이성태 한은총재는 지난달 금통위 회의에서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한 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금리인상을 할 경우에라도 통화정책이 긴축적으로 돌아서는 것은 아니며 G20국제공조라는 것이 한날 금리를 동시에 올리자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언급한 바 있다.


또 “물가와 경기상황, 주변국의 경제상황을 당연히 살피며 금리조절을 하겠지만 다른 나라가 금리를 올리지 않았다고 필요한 상황에서 개별국가가 금리를 올리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한은 관계자 역시 사견임을 전제로 “국제공조가 깨졌다는 것은 글로벌 자금흐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며 “반드시 금리를 한날 한시에 인상, 인하해야 하고 개별국가가 이를 먼저 실행에 나섰다고 해서 G20공조가 끝난 것 처럼 이해해서는 곤란하다”고 말했다.


채권전문가들은 “일단 G20에 속한 호주의 금리인상으로 한국의 경우 금리인상 부담이 상대적으로 덜할 수 있다”며 “연내 1차례 정도, 25bp수준에서 인상이 단행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다만, 이 총재가 언급했듯이 각국 상황에 맞는 금리정책이 필요한 만큼 호주가 금리인상을 했다고 해서 우리나라도 반드시 이를 따라갈 필요는 없다는 지적이다.


호주의 경우 원자재 부국으로서 물가상승압력이 높았다는 점에서 이번 금리인상을 미국이나 유럽 등 주요국과 동일선상에서 놓고 볼 수는 없다는 것이다.


한은 관계자는 “이 총재가 수차례 말했든 경기회복 강도 및 자산가격 상승세의 부작용을 고려해 금리결정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성호 기자 vicman1203@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