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지방선거 입지자들 추석민심 '노크'


내년 헌정사상 최대 입후보자 출마 예상
각종 모임 얼굴 내밀며 입지 어필 '분주'



민속명절 추석을 맞아 내년 지방선거 입지자들의 발걸음이 분주해졌다.

친인척·마을 단위 행사와 동창회 등 각종 모임이 열려 민심의 흐름을 파악하고 정당의 당원을 비롯한 유력인사 등에게 자신의 입지를 어필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 때문이다.


교육감, 시도의회 내 교육위원까지 최대 ‘1인 8표제’ 방식으로 선출하는 내년 지방선거는 전·현직 단체장 및 지방의원들은 물론이고 정치신인들까지 대거 출사표를 던져 헌정 사상 가장 많은 후보자가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 지역구 국회의원들과 정당 유력인사들까지 어려운 이웃을 돌아보고 민심을 살피는 일정을 마련하고 실행에 나서 이번 추석은 명실상부한 정치인들의 ‘대목’이 되고 있다.


◇발품 팔며 민심 ‘노크’ = 30일 광주·전남지역 입지자들은 연휴 기간 치러지는 지역 내 크고 작은 지역행사를 챙기고, 각종 모임에 얼굴을 내밀며, 재래시장과 버스터미널 등 다중이용시설과 사회복지시설을 방문하는 일정에 돌입했다.


내년 군수 선거에 나설 것으로 알려진 변호사인 J후보는 1일 오전 일찌감치 성묘를 마친 뒤 마을단위 체육대회와 동문회에 참석하고, 2일에는 사회복지시설들을 방문하며, 3일에는 친지들을 만난다는 빡빡한 일정을 마련했다.


시의원 선거에 출마여부를 아직 결정짓지 못한 G후보도 30일 저녁 예정된 동창회에 참석한 뒤 1일 조기축구회 등 각종 모임과 2일 재래시장에 들러 민심을 살핀 뒤 3일 종친회에 참석해 최종 입장을 정할 예정이다.

대부분 입지자들이 기부행위가 전면 금지된 선거법에 따라 ‘발품’을 팔면서 자신의 정당 공천확보 가능성과 당선 경쟁력을 점검하는 한편 경쟁자가 될 상대방의 출마 의사를 확인하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 시군구 통합과 정당공천 폐지여부 변수 = 통합이 거론되는 광양·순천·여수와 목포·무안·신안 등은 통합시가 출범할 경우 자치단체장 수가 줄어들게 돼 상당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행정안전부는 행정구역 개편과 관련, 각 시군구의 통합을 시범적으로 이끌 자율통합 신청을 이날 마감했다.


정당공천 폐지 가능성도 주목받고 있다. 지난 23일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가 개최한 ‘공직선거제도에 대한 공청회’에서는 정당공천 폐지여부를 두고 치열한 찬반토론을 벌였다.


선거구 획정여부도 무시할 수 없는 변수다. 헌법재판소가 의원 1인당 평균 인구편차 ±60%를 초과한 전국 광역 및 기초의원 선거구에 대해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려 국회가 올해 말까지 관련 법을 개정해야 한다. 광주광역시 북구와 동구 등이 그 적용대상이 된다.


국회에서 강기정 의원(광주 북갑) 등이 발의한 기초의원 선거를 중선구제에서 소선거구제로 환원하는 공직선거법 개정안 처리여부도 민감한 사안이다.


◇ 국회의원 등 정당 유력인사들도 민심 ‘체크’ = 지역구 선량들도 바쁜 추석이다. 국회의원들은 연휴가 끝나자마자 5일부터 곧바로 국정감사가 시작되는 빠듯한 일정에도 불구하고 이번 추석 대민접촉 일정을 결코 간과하지 않았다.


내년 지방선거가 곧 3년 후 자신의 재선여부를 결정짓는 밑거름이기 때문이다. 대부분 시장이나 대합실 등 다중이용시설을 둘러보며 저녁에 정당 관계자들과의 모임을 통해 민심을 꼼꼼히 살필 예정이다.


B의원은 “낮에는 사람들이 몰리는 시설을 방문하고, 밤에는 고향집 사랑채에 기거하며 당원들로부터 지역내 입후보자의 동향과 민심 흐름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볼 생각”이라고 말했다.


정동영, 손학규 계열과 친노 인사들도 이번 추석에 내년 지방선거에 출마할 광역단체장 입후보자들의 입장을 물밑에서 조율할 것으로 알려졌다.

광남일보 이성오 기자 solee235@gwangnam.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