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졸 정규직 취업률 4년 연속 하락

4년제 대학 정규직 취업률 39.6%


[아시아경제신문 김보경 기자]4년제 대학, 전문대학, 대학원 등 전체 고등교육기관 졸업자들의 정규직 취업률이 4년 연속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4년제 대학 졸업생의 정규직 취업률은 39.6%로 지난해보다 8.4%포인트나 떨어졌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올해 전국 518개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54만74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09년 취업통계조사(올 4월 1일 기준)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정규직 줄고 비정규직 증가 = 올해 전체 고등교육기관 취업률은 76.4%로 전년대비 0.3%포인트 하락했다. 기관별로는 전문대학 86.5%, 4년제 대학 68.2%, 일반대학원 79.9%로 전문대학은 전년대비 0.9%포인트 증가했고, 4년제 대학 및 일반대학원은 각각 0.7%포인트, 1.7%포인트 감소했다.


전체 취업률과 함께 정규직 취업률도 하락했다. 정규직 취업률은 48.3%로 지난해보다 7.8%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비정규직 취업률은 26.2%로 지난해보다 7.4%포인트 증가했다.


특히 4년제 대학의 정규직 취업률은 전년보다도 8.4%포인트나 감소한 39.6%로 40%에도 미치지 못했다.


최근 5년간 취업률 추이를 살펴보면2006년 이후 정규직 취업률이 매년 감소했다.


전체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중 정규직 취업률은 2006년 58.4%에서 2007년 56.8%, 2008년 56.1%, 올해 48.3%로 떨어졌으며 비정규직 취업률은 2006년 15.7%, 2007년 17.7%, 2008년 18.8%, 올해 26.2% 등 4년 연속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대상기관별 정규직 취업률은 대기업 7.9%, 중소기업 23.7%, 행정기관 3.1%, 공공기관 1.4% 순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정규직 취업률은 지난해보다 각각 1.8%포인트, 8.5%포인트씩 감소했다.


반면 행정인턴제 등의 영향으로 행정기관과 공공기관의 경우 비정규직 취업률뿐만 아니라 정규직 취업률이 각각 0.4%포인트, 0.1%포인트 증가했다.


여성 정규직 취업률 낮아 = 여성 취업률은 75.6%로 남성 취업률 77.1%에 비해 1.5%포인트 낮게 나타났으나, 전년대비 여성 취업률은 0.2%포인트 증가한 반면 남성 취업률은 0.9%포인트 감소했다.


여성 정규직 취업률은 44.8%로 남성 정규직 취업률 51.9%에 비해 7.1%포인트 낮게 나타났으며, 전년 대비 여성 정규직 취업률은 7.5%포인트, 남성 정규직 취업률은 8.1%포인트 감소했다.


취업률의 남녀간 격차(1.5%포인트)는 매년 완만하게 줄어들고 있으나 여성 대비 남성의 정규직 취업률이 7.1%포인트 높아 여전히 높은 고용구조의 성차를 드러냈다.


고등교육기관의 소재지별 취업률은 울산이 82.3%로 가장 높았으며 대구 81.8%와 경남 80.5% 순이었다.


계열별 취업률은 4년제 대학과 일반대학원은 의약계열이 각각89.7%, 90.8%, 전문대학은 교육계열이 91.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취업률이 높은 전공은 ▲4년제 대학은 간호학(95.4%), 치의학(94.2%), 의학(93.8%) ▲전문대학은 인문일반(96.6%), 간호(93.1%), 뷰티아트(92.6%) ▲대학원은 농업학(94.1%), 의학(92.6%), 간호학(92.4%)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올해 고등교육기관 졸업자는 54만7416명으로 전년대비 1만1548명 감소해 일반대학원이 포함된 2006년 조사 이래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학의 졸업 대상자 대비 졸업자 비율은 전년 64.8%에서 올해 62.2%로 전년 대비 2.6%포인트 감소했다.


교과부 관계자는 "2009년 취업통계조사는 지난해보다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조사대상자 전체 (54만7416명)를 대상으로 건강보험 및 고용보험 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해 검증을 실시하고, 30개 대학을 선별해 실사검증 후 외부 리서치 전문기관을 통해서 전화일치도 검증하는 등 다단계를 거쳤다"고 설명했다.


한국교육개발원은 다음달 중으로'2009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연보'를 발간·배포하고 교육통계시스템(http://cesi.kedi.re.kr)으로 2009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결과를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이달 말 대학정보공시제 대학알리미(http://www.academyinfo.go.kr)를 통해 학교별 취업현황도 공시될 예정이다.

김보경 기자 bkki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