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유럽 경제가 여전히 글로벌 경기회복을 제약하는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이에대한 대비책으로 '차별경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각 국가별로 위험성 정도를 파악해 각기 다른 전략으로 상대해야한다는 것이다.
삼성경제연구소(SERI)는 18일 '글로벌 경기회복의 복병, 동유럽경제'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지난 2월, 제2차 글로벌 금융위기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켰던 동유럽 연쇄부도설이 글로벌 금융시장의 안정과 함께 진정 기미를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난제를 안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동유럽으로 흘러들어간 해외자금이 지난해 2542억 달러에서 올 상반기 302억 달러로 급감했다. 외화대출의 비중이 높아 고정환율제하에서 환율 상승압력까지 받고 있는 동유럽 국가들은 더욱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각국의 정부부채 역시 증가하고 있어 만약 이들 국가의 신용등급이 하향조정된다면 역시 부정적 영향을 초래하게 된다.
대외의존적인 성격이 짙은 동유럽국가들이 경제적인 어려움에 처하면 이들 국가에 돈을 빌려주었던 서유럽 은행들이 어려움을 겪는다. 많이 빌려준 은행일 수록 어려움을 겪으며 신흥국에 대한 신용공급을 줄이게 된다. 이런 이유로 한국 역시 서유럽은행으로부터 현지진출 기업들이 신용공급 혜택을 받지못하는 등 곤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보고서는 리스크 대비책으로 동유럽 각국의 상황에 따라 차별적인 대응 전략을 세울 것을 조언했다. 고위험 국가의 경우 자금흐름을 주시하며 금융위기 이후에 따르는 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M&A를 통한 사업 기회 확대 등 신규진출 전략을 수립하고, 저위험 국가는 EU기금 프로젝트 참여 등 사업확대 전략을 추진해 EU 진출의 교두보로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박충훈 기자 parkjovi@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