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나라, 분열은 '재보선 필패' 가파른 '화합 행보'

10월 재보선을 향한 한나라당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박희태 대표가 경남 양산 지역구에 출마하면서 여권의 집권 2년차 승부수를 띄웠지만,복잡다단한 당내외 상황을 극복해야 한다.

박 대표는 내부 조율을 통해 당 대표직을 사퇴한 후 출마한다는 계획이지만, 승부를 자신 할 수 없는 상황이다. 당 대표직을 버리고 출마해도 여권을 대표하는 상징성으로 야당의 총공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또한 정권의 중간 심판론이 탄력을 받으면 4월 재보선 완패의 악몽이 되살아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장광근 사무총장은 14일 불교방송 라디오에 출연해 "어느 지역은 막대기만 꼽아도 된다고 접근하면 또 다른 실패를 잉태한다"고 말해 양산도 영남권이지만 만만찮은 승부가 될 것임을 예고했다.


당내 소장파인 남경필 의원은 이미 한 방송에서 "당내 계파가 힘을 합쳐도 이긴다는 장담을 할 수 없는 상황이다. 쇄신위가 만든 공천제도 개선안을 적용해 공천 과정이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위기감을 피력한 바 있다.


따라서 당 지도부를 중심으로 단일 대오를 형성하기 위한 물밑작업이 치열하다.


특히 4월 재보선에서 노출된 당내 친이 친박 계파 싸움의 재현은 자멸의 길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당내 불협화음을 최소화하고 공정한 공천과정을 통해 박근혜 전 대표를 비롯한 친박계의 지원사격을 이끌어낸다는 전략이다.


장 사무총장은 "공천과정에서 투명성과 공정성만 담보되면 박근혜 전 대표도 공감할 것"이라며 "박 전 대표에게 10월 재보선 지원을 강력하게 요청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에는 철저하게 당선 가능성을 계량화된 수치로 접근 할 것"이라며 "재보선 모든 지역에서 친박의 당선 가능성이 있다면 다 줘야 한다. 이것은 이명박 대통령도 공감한 부분"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공천문제를 제외하면 계파 갈등의 남은 과제는 이재오 전의원의 복귀다.


박희태 대표가 대표직 사퇴와 관련 "정지 작업이 필요하다"고 언급한 부분과 같은 맥락이다.


당내 친이계는 박 대표가 대표직을 사퇴하고 당헌에 따라 정몽준 최고위원이 당권을 승계하면, 남은 최고위원 한 자리에 이 전 의원이 들어와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 전 의원의 복귀에는 당내 친박이 여전히 반대의사를 표시하고 있지만, 팽팽하던 신경이 다소 누그러진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다.


한 친박계 의원은 "아직 언급할 만한 시기는 아니다. 과정을 지켜봐야 하지만 당헌 당규대로 진행된다면 굳이 막고 나서야 할 이유는 없지 않느냐"고 말했다.


한편 박희태 대표는 이날 경남 양산 통도사를 방문해 10월 양산 입성을 위한 본격 행보에 나선다. 박 대표의 통도사 행사 참여는 지역 주민들과의 첫 접촉으로, 다음주에는 양산으로 주소지를 이전할 계획이다.

양혁진 기자 yhj@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