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지하철 9호선 사진찍기 좋은 곳은?


황금노선 서울 지하철 9호선이 개통하면서 '디카족'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곳곳에 사진촬영 명소가 숨어있기 때문. 서울시가 셔터만 누르면 명작을 만들 수 있는 9호선의 명소를 소개했다. 늦기전에 9호선을 타고 출사를 나가보자.

▲구반포역 '반포한강공원'


구반포역에서 2번출구로 걸어서 10분이면 반포한강공원에 도착한다. 1980년대 한강종합개발을 통해 조성된 인공섬 '서래섬'은 봄에는 유채꽃이 만발하고 여름에는 해바라기, 가을에는 메밀, 겨울에는 청보리가 가득하다.

봄의 서래섬은 제주도를 연상시키고 8월 중순에는 해바라기가 만발한다. 세계에서 가장 긴 교량분수, 달빛무지개 분수도 반포한강공원에서 만날 수 있다.

일곱 빛깔 무지개를 닮은 달빛무지개분수는 야경을 찍기에 그만. 동작대교방향으로는 한강의 해넘이를 가장 잘 볼 수 있는 곳으로 꼽힌다.

▲노들역 '노들섬'


노들역 3번출구(본동초등학교)에서 한강대교 방향으로 15분을 걸어가면 노들섬을 만난다.

노들섬은 한강의 여러 섬 가운데 하나로 대한민국 1번 국도인 한강대교 남단에 위치한다. 오랜 기간 자연상태로 유지돼있어 사람의 손길이 많이 닿지 않았다.

노들섬은 2013년이면 한강예술섬으로 거듭난다. 노들섬에 대규모 복합문화공간인 오페라하우스를 비롯한 문화공간이 만들어지게 되는 것. 지금의 소박한 모습은 옛 흑백영화의 한 장면으로 기억에 남을 듯 하다.


노들섬을 찾을 때에는 바닥도 거칠고 계단도 매우 많은 편이기 때문에 편안한 복장에 간단한 간식거리를 챙겨가는 것이 좋다. 편의시설이나 안전시설이 부족하기 때문에 저녁 늦은 시간은 피해야 한다.


노들섬을 가기위해 지나는 한강대교는 사람이 건널 수 있는 다리로 확장 공사가 진행중이다.

▲샛강역 '여의도생태공원'


샛강역 4번출구(여의도119안전센터)에서 여의교방향 도보로 5분 거리. 여의도생태공원은 서울에서 보기 힘든 많은 동식물이 있다.


천연기념물 제323호인 황조롱이를 비롯 흰뺨검둥오리, 왜가리, 제비꽃, 말즘, 버들치 등 희귀 동식물을 만날 수 있다.

샛강역이 생기면서 여의도 생태공원을 찾는 시민도 늘어나고 있다. 낙엽이 지는 가을 생태공원이 옷을 갈아입기전에 여름 풍경을 담아보자. 비오는 날은 진입이 어렵고 침수 위험이 있다는 점은 기억해둬야 한다.


이밖에 이미 잘 알려진 '선유도공원'은 선유도공원역에서 10분만에 갈 수 있다. 동작역에서는 잘 관리된 '국립서울현충원'을 찾아볼 만하다.


<사진제공 : 임초이씨>

조영주 기자 yjcho@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