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이런 취업전략 반드시 실패한다

문어발식 지원은 백수 지름길
천편일률적 지원서 휴지통행


눈높이 낮추면 들어갈 회사많아
취업도 타이밍 시기 늦추지마라


올하반기에도 취업전쟁이 치열할 전망이다. 벌써부터 온라인 취업 커뮤니티나 대학교 취업 관련 부서는 하반기 채용정보를 구하려는 인파가 몰려들고 있다. 취업 선배의 성공기를 벤치마킹하거나 취업전략서를 탐독하는 이들도 늘고 있다. 하지만 좋은 전략을 무조건 따라한다고 누구나 쉽게 취업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최근 자사에 알맞은 인재를 가려내기 위해 '맞춤형 채용'을 실시하는 기업들이 늘었기 때문에 취업전략에 있어서도 '선택과 집중'이 필요해진 탓이다. '우선 지원서를 넣고 보자'는 식의 막무가내 전략은 '장기 백수의 길'로 접어 들 수 있는 지름길이다. 온라인 리크루팅 업체 잡코리아(www.jobkorea.co.kr)의 도움을 받아 '하반기 취업 성공을 위해 피해야할 취업전략'에 대해 소개한다.


◆문어발식 지원은 NO!
최근 온라인 입사지원이 보편화 되면서, 예전처럼 일일이 이력서와 자기소개서를 손으로 직접 쓰고 우편으로 보내지 않아도 되게 됐다. 하지만 이로 인해 입사 절차가 간편해 지면서 '일단 지원하고 보자는 식'의 문어발식 지원자들이 늘고 있다.
하지만 하반기 공채가 시작되는 8~9월에 무분별하게 여러 기업에 입사지원을 할 경우 일찍 취업포기 상태에 빠지게 되어 자신감을 잃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희망 기업군과 지원 기업의 업종을 미리 정의하고 전략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낚싯대 10대를 걸쳐놓는다고 해서 모든 낚싯대에 고기가 다 물리는 것은 아닌 것처럼 취업도 무작정 지원하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

◆회사이름만 바꿔넣은 지원서 NO!
온라인 리크루팅이 보편화는 여러 회사에 이력서를 넣을 수 있다는 것이 최대 장점이다. 때문에 지원 회사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이력서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 한번 작성한 이력서를 여러 업체에 천편일률적으로 제출하다가는 '성의 부족'으로 탈락의 쓴맛을 볼 수 있다. 유통업체에 지원했던 이력서를 운수회사에 낼 수는 없는 노릇. 때문에 지원하는 회사가 원하는 인재상과 조건 등에 맞춰 이력서를 수정해서 다양한 이력서를 구비해 두자. 사냥에서도 목표를 겨냥하고 총을 쏘는 게 명중률이 훨씬 높은 것처럼 이력서 한 장을 쓰더라도 반드시 그 회사 입장에서 써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지원하는 회사가 1군데 이상 이라면, 이력서를 보낼 경우 주소를 동봉, 한 번에 보내기보다 업체마다 구분해 개별적으로 전송하는 것이 좋다. 개인 입장에서는 단체로 한꺼번에 보내는 것이 편리하지만 인사담당자의 입장에서 문어발식 입사 지원은 성의가 없는 것으로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메일 발송시 간단하게 숨은 참조로 메일을 발송하거나 별도의 프로그램을 이용, 발송하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하다.


◆그회사 '오르지못할 나무'란 생각 NO!
"나는 이 회사 아니면 절대 안돼" 라는 식의 '눈높이형'이 있다. 이런 유형은 먼저 첫 직장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오히려 첫 번째 직장보다는 두 번째 직장이 더 중요하다.
기업 선택의 기준을 너무 엄격하게 가지지 말고, 취업 눈높이를 조금만 낮추면, 의외로 취업문이 많이 열려 있다.
또 취업난이 심화되면서 바로 정규 직장을 구하는 것보다는 인턴이나 계약직 등을 통해 경험을 쌓고, 직종에 대해 미리 알아보는 방법도 대안 중 하나다. 인턴이나 계약직이 자연스레 정규직으로 연결되는 것은 물론이고, 직장을 옮길 때도 자신의 경력으로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무작정 대기업을 고집하기보다는 중소기업 또는 계열사에서 경력을 쌓는 것도 바람직하다. 경력직을 채용할 때는 학벌이나 점수보다는 능력과 실적을 주로 보기 때문에 이러한 장벽을 극복할 수 있다.


◆"일단 들어가서 배우지 뭐" NO!
취업에 있어서도 타이밍이 중요하다. 때를 놓치면 직장을 선택하는 폭이 갈수록 좁아지기 때문이다. 취업활동은 대세를 읽고 정확히 판단하며 타이밍을 포착하지 않으면 결국 실패와 좌절의 연속이다.
무작정 취업시장이 어렵다고 해서 취업시기를 늦추는 것은 오히려 장기적인 실직 상태를 가져올 수 있다. 실제, 기업 입장에서도 구직활동 기간이 1년이 넘은 구직자들을 선뜻 채용하기는 쉽지 않기 때문이다.
혹 대학원 등으로 재학기간을 늘려 취업기회를 타진하려는 경우에도 도피식 진학이 아닌, 앞으로 자신의 인생에 정확한 목표를 세워두고 계획성 있는 진학이 되어야 한다.
기업은 이제 '뽑아놓고 가르치는 식'이 아닌 '완성품'을 원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대졸 구직자들에게는 보다 일찍 자신의 적성과 진로를 파악하고 충분히 준비해 한 단계씩 경력을 쌓아나가는 전략이 필요하다.


◆"시켜만 주신다면 뭐든 할게요" NO!
취업준비생들이 자기소개서 하단에 많이 쓰는 문장 중의 하나가 바로 '무엇이든 열심히 하겠습니다'이다. 이런 경우, 지원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의욕과 적극성을 어필하려는 의도가 있겠지만, 기업의 입장에서는 '전문성' 이라는 항목에서 아주 낮은 점수를 줄 수 있다.
자신이 지원하려는 분야의 좀더 구체적인 계획이나 향후 업무에 대한 의지를 어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박충훈 기자 parkjovi@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