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교통사고 많은 곳..."이유 있네"

교통안전공단, 운수업체 안전진단 결과 발표

교통사고율은 이직률이 높은 운송업종과 고령운전자일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안전공단(이사장 정상호)이 80개 운수업체(버스 33개, 택시 42개, 화물 5개)를 대상으로 지난 2008년도에 실시한 교통안전진단 종합결과를 발표했다.

이 발표에 따르면 택시업종 운전자의 이직률이 52.8%로 버스(24.4%), 화물(10.7%) 업종에 비해 크게 높았다.


이로인해 지리와 운전기량이 미숙한 신규채용 운전자만 양산하고 있다. 결국 사고다발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신규채용 운전자의 경우 1인당 연간 사고건수는 0.4건으로 취업운전자 0.2건에 비해 2배 높다.


또한 60대 이상 고령운전자의 1인당 연간 사고건수는 0.5건으로 다른 연령층의 0.2건에 비해 2.5배나 높았는데 이는 고령일수록 복잡한 교통정보에 대한 인식과 순간대처 능력이 부족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과속 등 운전자의 운전행태 교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운행기록계 분석 역시 80개 진단업체 중 34%인 27개 업체에서 전담인력 부족 등을 이유로 제대로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600%가 넘은 높은 부채비율과 8% 이상의 영업손실률 등 취약한 재무구조도 안전관리에 대한 투자를 어렵게 하고 있는 또 다른 요인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공단은 앞으로 운수업체에 대한 지도활동을 더욱 강화하고 관련 정부부처에 제도개선을 건의한다는 방침이다.


또 공단은 운수업체에서 사고율이 높은 운전자의 운전습관 교정을 위해 현행 아날로그 운행기록계를 단계적으로 디지털 운행기록계로 교체토록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교통 사고율이 높은 운전자에 대해서는 현장 체험중심의 교육을 강화하는 등 국가 차원의 운전자관리가 될 수 있도록 정부에 건의할 계획이다.


또 고령운전자 사고예방을 위해 고령운전자에 대한 적성검사제도 도입과 교육 과정 신설 등 자격요건 강화가 시급하다고 보고 이에 대한 개선을 검토할 방침이다.


공단은 업체의 교통안전관리 강화를 통해 보험료와 사고처리비용 등 운송원가가 절감될 수 있도록 업체지도를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정상호 이사장은 “이번에 도출된 문제점이 신속히 개선될 수 있도록 업체에 대한 사후관리를 강화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정수 기자 kjs@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