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건설기계임대업자, 수급조절 불발시 '4대강 사업 불참'

건설기계 생산업자들이 15일 국토해양부의 건설기계 수급조절안에 반발해 과천 정부청사 앞에서 대규모 시위를 연데 이어 이번엔 건설기계 임대업자들이 파업 선언을 주창했다.


이들은 자신들의 의견이 관철되지 않을 시 정부의 '4대강 살리기 사업'에서 전면 철수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임대사업자가 주축이 된 대한건설기계협회(회장 정순귀)는 건설기계 수급조절은 영세사업자를 위한 미래지향적 정책이라며 생산업자들의 제조산업 붕괴 주장은 억측에 불과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따라 전국의 굴삭기·콘크리트펌프트럭 (임대)사업자들이 오는 30일 과천 정부청사에서 약 1만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수급조절 대상 기종에 굴삭기와 콘크리트펌프트럭을 반드시 포함시킬 것을 국토부에 요구하는 대규모 집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대한건설기계협회(회장 정순귀)는 지난 14일 건설기계 임의단체(전국건설기계경영인연합회·전국굴삭기연합·전국콘크리트펌프카사업자협회)가 참가한·건설기계수급조절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를 설치하고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오는 28일부터 각 지역별로 파업 및 휴업에 들어가며 30일 과천 정부청사에서 집회를 강행한 후 무기한 파업에 돌입한다.


비대위는 수급조절안 이외에도 건설기계임대차 표준계약서 정착, 1일 8시간 작업 준수, 건설기계 임대료 현실화 등을 국토부에 요구할 계획이다.


비대위는 지난달 16일 개최된 건설기계 수급조절위원회에서 굴삭기가 수급조절 최고 우선 대상으로 선정됐으나 지식경제부와 한국건설기계산업협회가 주장한 실제등록대수 대비 운영대수의 허수 보고로 인해 수급조절 시행이 지연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비대위 김태균 공동위원장은 "굴삭기는 과잉공급과 건설경기 침체로 최악의 상태에 도달했다며등록대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유가 급등과 최저생계비에도 미치지 못하는 낮은 임대료 등으로 사업 채산성이 악화돼 더 이상 정부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라고 주장했다.


최근 한건협이 주장하는 건설기계 제조산업이 붕괴된다는 주장에 대해 비대위 관계자는 "굴삭기 제작사들의 해외 수출 비중이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며 수급조절이 시행되더라도 생산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박충훈 기자 parkjovi@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