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시, 강남·목동 집값 현장점검 착수

서울시가 최근 강남과 목동 일대 아파트를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 오름세가 확산되자 현장 동향 점검에 착수했다.


6일 서울시 고위 관계자는 "시의회에서 재건축 연한을 10년 이상 단축하는 안을 의회에 제출키로 하면서 해당 지역 노후 아파트 가격이 들썩이고 있다"면서 "최근 집값 움직임이 우려할 수준이라고 보고 재건축 연한 축소가 해당되는 단지를 비롯해 주요 개별 단지의 집값 동향을 면밀하게 점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방침에 따라 서울시는 지난 주말부터 서울 강남 개포동, 양천구 목동, 도봉구 상계동, 노원구 창동 등 시내 6~7곳의 집값 동향 현지 조사에 돌입한 상태다.


시는 조사된 내용을 토대로 부동산시장 안정대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국토해양부 등과 협의를 거쳐 대책을 마련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시는 필요할 경우 시의회가 추진 중인 재건축 연한 축소도 유보하는 방안도 검토키로 했다.


최근 시의회 고정균, 박환희 의원 등 43명은 노후 불량 주택의 재건축 허용 연한을 준공 후 최장 40년으로 과도하게 규제하고 있다며 이를 준공 후 최장 30년으로 줄이는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조례 개정안을 마련해 의회에 제출한 바 있다.


이 개정안이 확정될 경우 강남구 대치동 한보미도맨션 2차, 도곡동 개포한신, 강동구 명일동 고덕주공 9단지, 송파구 송파동 삼익, 오금동 현대2·3·4차, 양천구 목동신시가지 1단지 등이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시는 지난 2003년 재건축 연한 조례를 제정해 1981년 이전에 준공된 5층 이상 아파트는 20년으로 정하고 1982년 준공된 아파트부터 2년씩 늘려 최장 40년으로 규정하고 있다.

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