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제철소 설립 이야기-④]
中 ‘저우4원칙’ 발표···한국 거래기업과 무역거래 중단
$pos="C";$title="포항제철소 고로 1기 착공식";$txt="(왼쪽부터) 박태준 사장, 박정희 대통령, 김학렬 부총리가 포항 1기 고로 착공식에서 착송 버튼을 누루고 있다.<사진: 포스코> ";$size="480,368,0";$no="2009061018062069456_1.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
1970년 4월 1일 오전 10시, 포항제철소 부지.
박정희 대통령과 김학렬 부총리, 박태준 사장이 버튼을 누르자 폭발음과 함께 첫 번째 강철 파일이 내리 꽂혔다. 이어 오색찬란한 연기가 영일만 위로 피어올랐다.
포항제철소 1기 기공식은 이렇게 화려하게 개최됐다. 드디어 공업한국으로 가는 토대, 종합제철소의 꿈이 현실이 되는 순간이었다.
기공식을 전후해 공장부지 조성과 건물 공사 등이 빠듯한 일정에 맞춰 숨가쁘게 진행됐다. 5월부터는 일본 설비공급업체와 구체적인 설비 구매협상이 시작됐다. 공기가 앞당겨지느냐 늦어지느냐에 따라 앞으로의 경쟁력이 좌우되는 만큼, 하나하나가 피를 말리는 일뿐이었다.
그런 와중에 뜻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했다. 당시 베트남에서는 월남 전쟁이 한창이었고, 우리 정부는 미국의 요구에 따라 베트남에 국군을 파견, 전쟁에 참가하고 있었다.
중국이 문제를 제기했다. 1970년 4월 중국 수상 저우언라이가 ‘저우4원칙’을 발표, 참전 중인 한국과 대만을 견제하고 나선 것이다.
저우 4원칙은 ▲한국 또는 대만과 경제협력 관계를 맺고 있는 기업과 무역거래 하지 않는다 ▲한국이나 대만에 투자하고 있는 기업과 경제거래 하지 않는다 ▲무기를 생산해 베트남전에서 미국을 돕고 있는 기업과 거래 하지 않는다 ▲미국과의 합작회사, 미국의 자회사와도 무역거래 하지 않는다 등 4개항 원칙을 말한다.
중국은 5월 2일 첫번째 항목을 위배했다는 이유로 이미 중국과 관계를 맺고 있던 일본의 스미모토화학, 미쓰비시중공업 등과 무역거래를 단절해 버렸다.
당시 일본 기업들은 중국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었다. 중국이 실제로 거래 단절 조치를 내리자, 일본의 주요기업들은 중국의 요구에 굴복해 한국 또는 대만과 사업관계를 중단하기 시작했다. 미쓰비시와 미쓰이가 사업관계를 중지했으며, 도요타자동차도 한국과의 합작사업 협상을 취소했다.
포스코로서는 발등의 불이 떨어졌다. 신일본제철과 일본강관이 어떤 태도를 취하느냐에 따라 회사의 운명이 판가름 날 상황에 몰린 것이다. 그들이 중국의 요구를 받아들인다면 기술지원은 물론 수백만 달러에 달하는 설비도 구입하지 못할 처지였다.
긴박한 물밑협상이 진행됐다. 5월 14일, 신일본제철은 “한국의 포항종합제철에 대한 기술원조는 저우4원칙에 저촉되지 않는다”는 전제 아래 저우4원칙을 인정한다는 모호한 입장을 중국측에 통고했다. 포항제철소에 대한 기술지원은 무역거래도, 경제협력도 아니기 때문에 중국의 새 정책과는 무관하다는 것이다.
다시 중국이 명백한 입장 표명을 요구하자, 5월 22일 신일본제철은 “한국 및 대만과의 현재 거래를 단절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날 오후 이나야마 사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중국은 신일본제철이 한일협력위원회 및 일화(日華)협력위원회에서 손을 떼겠다는 성명을 요구하고 있으나 우리는 그 같은 일을 할 수는 없으며 이들 협력위원회의 참석은 거래관계상 당연하므로 중국 측이 요구하는 양자택일에는 응할 수 없다”고 밝혔다.
대부분의 일본 기업이라면 이 같은 상황에 닥쳤을 경우 오랫동안 시간을 끌며 상황을 파악하기 마련이지만 이나야마 사장은 파격적으로 정면 승부를 택했다. 그의 용기 덕분에 포스코를 살아날 수 있었다.<자료제공: 포스코>
정리=채명석 기자 oricm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