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아소 다로(麻生太郞) 총리와 중국 원자바오(溫家寶) 총리가 29일 베이징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차세대 이동통신 분야의 기술협력에 합의할 계획이라고 니혼게이자이 신문이 28일 보도했다.
중·일 양국 정부는 중국의 현행 통신규격이 일본과 같은 3G와 3.9세대(3.9G)로 바뀌고 있는 것과 때를 같이해, 새로운 단말기 개발과 인프라 정비에서 민·관이 협력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양국의 이같은 방침은 중국이 이달부터 제3세대(3G) 이동통신서비스를 시작한 가운데, 한국 업체들이 선점하고 있는 약 4000억달러 이상인 3G 시장에 일본이 도전장을 내민 것으로 해석된다.
중국 정부는 일본과의 협력을 통해 중국 기업의 기술력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는 한편, 일본은 기술 공여를 앞세워 정부가 개입할 수 있는 통신분야에서 일본 기업의 진출에 유리한 여건을 마련하게 될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양국의 기술협력을 통해 약 6억6000만 건에 달하는 세계 최대 이동통신 시장에 자국 기업의 진출을 지원할 수 있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중국에선 2세대(2G)가 주류. 양국의 2G 통신규격이 달라 일본 기업은 중국 시장에서 핀란드의 노키아 등 외국 기업들에 크게 밀리고 있어 NEC를 비롯해 파나소닉, 교세라 등 내로라 하는 휴대전화 대기업들이 잇따라 짐을 싸고 있는 형국이다.
중국에서는 올해들어 베이징 등 일부 지역에서 일본과 같은 통신 규격의 3G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제공해 오고 있다. 중국의 대형 이동통신사들도 3G 서비스의 인프라 구축에 2011년까지 6조엔 가량을 투입할 예정이어서 단말기 교체와 함께 기지국 건설 등의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각에서는 양국의 제휴가 성사될 경우, 한국 기업들이 적지않은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예를들어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최근 중국 3대 이동통신사인 차이나텔레콤, 차이나모바일, 차이나유니콤과 각각 휴대전화 단말기 공급계약을 맺은 것을 알려졌다. 중국에서 3G 서비스가 시작되기도 전에 중국 이동통신사와 사전 계약을 맺은 것은 한국 기업들뿐이다.
삼성, LG 등 한국 기업들은 올 연말까지 향후 6개월을 중국 시장에서의 대세를 판가름하는 고비로 보고 있는 가운데 일본 기업들의 공세에 따라 수정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배수경 기자 sue6870@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