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권대우의 경제레터] 요네자와 번주 이야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2분 4초

[권대우의 경제레터] 요네자와 번주 이야기
AD

한 일본기자가 케네디 전 미국 대통령에게 질문했습니다. 존경하는 일본의 정치인이 누구냐는 것이었습니다. 그의 대답은 ‘우에스기 요잔’이었습니다.


우에스기 요잔 그는 240여년 전의 인물입니다. 그것도 일본의 조그마한 지역을 통치했던 작은 지도자에 불과했습니다. 그런데도 케네디가 요잔을 꼽았던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습니다. 실의와 절망에 빠진 백성들에게 희망과 용기의 불씨를 지핀 주인공이기 때문입니다. 요잔은 이를 통해 갈라진 민심을 한곳으로 모았고 서로 믿고 신뢰하는 사회, 편 가르기 하지 않는 사회, 서민들을 잘살게 한 지도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요잔은 일본의 요네자와 번이라는 곳에 살았습니다. 당시 일본에서 번이라는 곳은 우리나라로 말하면 군(郡)과 도(道)의 중간정도쯤 되는 행정구역입니다. 이곳을 통치하는 지도자를 번주라고 했습니다. 우에스기 요잔은 ‘요네자와 번주 이야기’로 더 잘 알려져 있으며 내용을 들여다보면 기억이 나는 분도 적지 않을 것입니다.


당시 요네자와 번의 번주는 통치를 아주 잘못했나 봅니다. 그래서 이 번주가 통치하던 지역은 빚더미에 올라앉았고 주민들이 야반도주하는 일이 있을 만큼 민생이 피폐한 상태였다고 합니다. 그는 결국 이 번주는 민생을 이렇듯 엉망진창으로 만들어 놓은 채 심장마비로 사망하고 말았습니다.

그에겐 외동딸이 있었습니다. 불행하게도 외동딸은 장애인이었습니다. 그래서 데릴사위인 우에쓰기 요잔이 번주의 자리에 앉게 됐습니다. 그렇지만 그의 나이는 17세에 불과했습니다. 이 때문에 백성들은 그가 과연 요네자와 번을 잘 이끌 수 있을까 걱정하지 않을 수 없었고 그를 따를 리가 없었습니다.


요잔이 번주의 자리에 올랐지만 당시 신하들은 요네자와 번을 중앙정부에 반납하자는 말이 나올 정도로 어려운 상태였습니다. 이미 그때는 이 지역의 백성들이 경제파탄으로 대부분 도망가고 없어 노숙이 불가피한 상황이었습니다.


그가 번주로 취임하던 때는 겨울이라 국경지역은 엄청 추웠습니다. 추위를 피할 방법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국경지역을 지나던 중 그가 타고 가던 가마에 불 꺼진 화로가 있었습니다. 아무 생각없이 그는 화로를 뒤졌습니다. 화로 속 밑바닥에서 불씨가 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때 그의 머릿속에 매우 중요한 영감과 상상이 떠올랐습니다. 불씨를 발견한 그는 불을 지피기 시작했습니다. 가마 밖 신하들이 깜짝 놀라 무슨 일이냐고 물었습니다. 그는 가마를 세우고 화로를 들고 나와서 다들 모이게 했습니다.


“가마를 세우라.”


이때 우에스기 요잔은 신하들을 불러 자초지종을 이야기 합니다.


“요네자와 번은 이 불 꺼진 화로와 같다. 그런데 내가 불씨를 발견했다. 그 불씨를 지피겠다. 내가 앞장설테니 우리모두가 함께 요네자와 번을 한번 살려보자.”


망해가는 번의 불씨가 되어야 되겠다는 다짐을 합니다. 희망과 번영의 불씨를 지피는데 앞장설테니 동지가 되어주기 바란다고 외쳤습니다.


신하 중 한 사람이 요잔 번주에게 화로를 맡겨 달라고 했습니다. 요잔 번주의 생각에 동참하는 사람이 늘어나게 된 것이지요. 불씨 퍼뜨리기 운동은 번 전체로 퍼져나갔습니다. 요네자와 행정구역내 구석구석까지 그 운동이 확산된 것입니다.


불씨지피기 운동이 확산되자 요네자와 번의 분위기는 확 달라졌습니다. 되살아난 화로의 불씨처럼 나라를 다시 일으켜 세워보자는 사람들이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서로 믿지 못하던 불신풍조가 어느새 사라졌고 번주와 백성들이 한마음이 돼 살길을 찾아나갔습니다. 좌절과 불신의 요네자와 번이 개혁의 용광로 변한 것입니다.


이때 있었던 번주 이야기를 소설형식으로 출간한 책이 ‘우에스기 요잔’입니다. 우리말로는 ‘불씨’로 번역돼 있습니다. 한때 김영삼 전 대통령도 이 소설을 읽고 청와대직원들에게 읽으라고 추천했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최근 한달새 일터를 잃은 사람이 30만명이나 늘어났다고 합니다. 이 중에는 일거리가 없거나 경영이 악화돼 그만둔 사람만도 13만명이나 된다고 합니다. 또 다른 통계를 보면 지난달 실업자 수는 95만명을 넘어서 조만간 10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특히 주력 노동계층인 30대와 40대들이 고용한파의 직격탄을 맞아 취업률이 1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가장들마저 직장에서 내몰릴 상황이 된 셈입니다. 그동안 여성취업자와 자영업자를 위협하던 실업공포가 가장들의 일자리마저 빼앗아갈 위기에 내몰리게 된 것입니다.


이같은 상황을 240여년 전 요네자와 번에 비유하면 지나친 비약일까요?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부동산이나 증시, 수출현장을 보면 이제 막 경기가 살아날 조짐도 있는데 무슨 뚱딴지같은 소리냐며 비판할 수도 있겠지요. 저는 그렇게 보지 않습니다.


앞으로 대기업 구조조정이 본격화되고 그 여파가 중소기업까지 파급되면 실직공포는 더 심각해질 것입니다. 국가부도 위기는 넘겼지만 아직도 여전히 불안한 요인들이 여기저기에 잠재돼 있습니다. 이같은 상황에서 실직공포가 가시화되면 심각한 사회문제로 연결될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상황이 아니겠습니까? 이 아침에 요네자와 번주 이야기를 떠올리는 것은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또 다시 선거로 온 나라가 떠들썩합니다. 이번 선거가 재선거로 일부지역에 국한돼 있기는 하지만 이미 지역현안을 외면한 채 사상 최악의 구태선거로 치닫고 있다는 평가를 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정책은 오간데 없고 악습만 날뛰고 있습니다.
여기에다 전직 대통령이 구치소 신세를 져야할지 모르는 상황이고 측근 비리도 여기저기서 튀어나오고 있습니다. 부끄러운 일입니다. 우리는 언제 우에스기 요잔같은 지도자를 만날 수 있을까요? 우에스기 요잔같은 지도자가 그리운 4월입니다.






권대우 아시아경제신문 회장 presiden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