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정부 "개성공단 폐쇄 가능성에도 대비"

정부 고위당국자는 오는 21일 북한과의 접촉을 앞두고 "(개성공단 폐쇄를 포함한) 모든 시나리오를 준비하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이 당국자는 북한이 예고한 '개성공단과 관련한 중대한 사안의 통보' 내용에 대해 "가봐야 알 수 있다"면서도 "최악의 경우 개성공단 폐쇄를 통보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만약 북한이 공단폐쇄를 통보할 경우, 체류국민의 신변안전·입주기업들의 투자대금회수 등으로 이어져 남북관계는 이명박 정부 출범이후 최악의 혼란이 맞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지난 16일 북한의 접촉 제안 이후 정부의 대책회의도 연일 긴장감 속에 열리고 있다.

한 핵심 소식통은 "북한이 일방적으로 내용을 말하고 가버릴 수 있다"며 "이번 남북 당국간 접촉이 협상의 여지없이 끝날 가능성도 있어 회의분위기는 시종 심각했다"고 전했다.

북한이 개성공단 폐쇄 통보 대신 우리 기업의 자진 철수를 유도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도 있다는 전망도 제기됐다.

다른 고위당국자는 "북한이 폐쇄를 직접 언급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개성공단 체류) 인원들의 신변안전 등에 대한 모종의 조치를 통보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럴 경우 북한 국내법 위반이나 우리 정부의 대량살상무기확산방지구상(PSI) 전면참여 발표 등을 빌미로 억류된 현대아산 직원 유씨 혹은 공단체류인원 전체의 신변을 볼모로 잡을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가 당초 19일 예정됐던 PSI 전면참여 발표를 21일 이후로 연기한 것도 북측과의 접촉을 감안한 조치다.

또다른 정부 당국자는 이와관련 "전면참여는 북한과 관계는 없지만 (유씨같은) 사실상 '인질'이 있는 경우에는 중요한 문제"라고 알렸다.

남북관계의 변화와 더불어 개성공단 체류국민이 인질화하고 있음을 정부도 공식화 하는 단계에 도달했다는 것이다.

우리 정부는 북한이 유씨를 추방해주기를 내심 바래왔지만 지난 주말 "PSI 전면참여는 선전포고", "서울이 군사분계선에서 불과 50km 안팎" 등의 강도 높은 북한의 발언에 비춰볼 때 가능성은 낮은 상황이다.

한편, 정부는 개성공단에서 열릴 남북 당국간 접촉을 위해 20일 김영탁 통일부 개성공단사업지원단장을 비롯한 10여명으로 구성된 우리측 참석자들의 방북 계획을 북에 통보한다.

박현준 기자 hjunpark@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