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경찰 "故장자연 리스트 없다" vs KBS "경찰이 발뺌"


[아시아경제신문 이혜린 기자]'故장자연 문서'의 유출 경위를 두고 대립하던 경찰과 KBS가 실명 리스트를 두고도 대립각을 세웠다.

분당경찰서는 19일 언론브리핑에서 "유장호 대표가 진술한 바에 따르면 문서는 총 7매인데, KBS로부터 4매만 받았다. 나머지 3장에 실명 리스트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갖고 있는 리스트가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KBS는 이에 앞서 '아침뉴스타임'을 통해 "경찰은 KBS로부터 자필 문건의 사본을 건네받았지만, 리스트는 없다고 갑자기 발뺌했다. 실명거론자에 대한 수사의지가 있기나 한건지 의심된다"며 경찰의 태도에 의혹을 제기했다.

이같이 의견이 엇갈리는 이유는 경찰이 '실명'과 '실명 리스트'를 다르게 해석했기 때문. 오지용 형사 과장은 "언급된 관계자 이름과 관계자 이름으로 추정할 만한 내용은 가지고 있다"면서 "다만 이름이 나열돼 있지 않았기 때문에 리스트가 없다고 했던 것"이라고 '발뺌' 이유에 대해 설명했다.

'실명 확보'와 '실명 리스트 확보'가 사실상 비슷한 의미를 갖고 있어 경찰의 해명이 얼마나 설득력을 가질지는 의문.

경찰과 KBS는 이에 앞서 문서 보도 경위를 두고도 의견을 달리한 바 있다.

경찰은 KBS가 밝힌 문서 입수 경로가 틀렸다고 밝혔고, KBS는 경찰이 본질을 놓치고 엉뚱한 것만 수사한다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경찰은 18일 언론브리핑에서 "KBS는 문서를 쓰레기통에서 확보했다고 했는데, 이는 경찰이 파악한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KBS는 18일 밤 '9시뉴스'를 통해 문서입수 과정을 상세히 보도한 데 이어 19일 '아침뉴스타임'에서 "(문서 입수는) 집요한 취재를 통한 쾌거다. 경찰은 엉뚱한 데 수사를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서를 직접 입수한 임종빈 기자는 이 프로그램에 출연해 "경찰은 사건 본질과 상관없는 유출 경위에만 매달리고 있다"면서 "언론에서 제기된 의혹만 확인하는 뒷북 수사에 머물고 있다. 현재 소속사 전 대표인 김모씨의 소재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KBS가 지난 13일 문서를 어떻게 입수, 단독보도했는지 여부는 이번 사안에서 매우 예민했던 부분. 만약 유대표가 문서를 빼돌려 언론에 제보했다면, 이 보도를 통해 사적인 이익을 노렸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KBS는 유대표의 사무실 복도에 방치된 쓰레기봉투에서 입수했을 뿐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KBS는 "13일 유장호 대표의 사무실 전경을 찍으러 갔다가 쓰레기 봉투를 발견했고, 거기서 불에 타다 만 문서를 발견했다. 나중에 또 한번 가서 쓰레기 봉투 전체를 조사한 결과 음식물 쓰레기 더미 가운데서 갈기갈기 찢어진 문서를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이혜린 기자 rinny@asiae.co.kr
<ⓒ아시아경제 & 스투닷컴(stoo.com)이 만드는 온오프라인 연예뉴스>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