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相生 기업 생태계가 바뀐다] <2> 뭉치는 디스플레이업계
LCD패널 교차구매 상반기 가시화
북미 모바일TV기술 규격 공동개발
환경분야 협력 파트너 체제도 구축
지난 16일 서울 양재동 교육문화화관에서 열린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정기총회장. 이날 2대 디스플레이협회장에 취임한 권영수 LG디스플레이 사장은 삼성전자와의 LCD(액정표시장치)패널 교차구매에 대해 "TV용 LCD패널은 근시일 내 어렵겠지만, 모니터 부문은 조만간 교차구매가 성사될 가능성이 높다"며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했다. 함께 배석한 장원기 삼성전자 사장(LCD사업부장)도 "모니터 부문 교차구매가 어느 정도 가시화됐다"며 권 사장에 화답했다.
삼성과 LG의 패널교차구매 성사는 단순히 패널을 교차구매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평가다. 업계에서는 양사간의 LCD패널 교차구매가 상반기 안에 진행될 것으로 낙관하고 있다.
'재계 라이벌' 삼성과 LG가 달라졌다. 영원한 경쟁자로 대립각을 세울 것 같았던 삼성과 LG가 '소모적인' 출혈 경쟁을 자제하고, '경쟁속 협력 관계'를 지향하면서 '대- 대기업 상생'을 이끌고 있다. 삼성과 LG는 이외에도 '모바일TV 기술규격'을 공동개발키로 협의하고, ‘유해물질 분석기관(Eco-Lab) 상호인정 협약’을 체결하는 등 예전과는 달라진 협력관계를 과시하고 있다.
◆삼성- LG, 패널교차구매 상반기 중 '결실(?)' = 양사간의 LCD패널의 교차구매가 성사될 경우 삼성과 LG는 20인치와 19인치, 17인치 등 서로 생산하지 않는 크기의 모니터용 LCD를 교차구매하게 된다. 삼성전자는 LG디스플레이로부터 패널을 구매하고, LG전자는 삼성전자 LCD총괄로부터 패널을 구매하는 식이다.
양사간의 패널 교차구매가 성사된다면 논의가 진행된 지 무려 1년여 만에 거두게 되는 성과다. 삼성과 LG는 지난해 패널 교차구매 실시에 합의했지만, 하반기 이후 극도로 악화된 시황 탓에 교차구매 시점을 올해 이후로 미룬 바 있다.
삼성과 LG는 그 동안 국내 기업이면서도 미묘한 경쟁 관계로 인해 패널 교차구매에는 인색했다. 오히려 부족한 LCD패널은 AUO,CMO 등 대만업체들로부터 조달해왔다. 디스플레이협회에 따르면 양사간의 패널교차 구매가 성사될 경우 이에 따른 무역수지 개선효과만 연간 6000만달러(약 857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 공동 개발 '모바일 TV기술규격', 北美서 채택 확실시= 이에 앞서 삼성과 LG는 지난해 5월 깜짝 놀랄 발표를 했다. 미국 모바일TV 시장의 표준 기술 규격을 두고 치열한 경쟁을 펼치던 양사가 기술규격을 공동 개발한다고 발표한 것.
북미 모바일 TV 기술 표준은 오픈모바일비디오연합(OMVC. Open Mobile Video Coalition)의 기술 테스트를 거쳐 미국 ATSC가 올 상반기 중 확정되게 된다. 큰 이변이 없는 한 삼성과 LG가 공동으로 제안한 미국 모바일 디지털방송 표준(ATSC-M/H)이 미국 방송사연합(NAB, National Association of Broadcaster)에 의해 독자 표준으로 채택될 전망이다.
미국 방송사연합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모바일TV 적용의 주 대상이 될 북미지역 모바일기기 시장은 2012년까지 휴대전화 시장은 1억3000만대, 기타 포터블 기기는 2500만대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연 수십조원 규모의 북미 모바일 디지털방송 장비와 단말기시장의 선점은 양사간의 협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NBC, 폭스TV, PBS 등 미국의 63개 방송사는 올해 안에 무료 모바일TV 서비스를 개시할 계획이다.
◆ "中企 위해서라면".. 삼성-LG, 환경도 '상생'= 삼성과 LG의 상생협력은 환경 분야로 이어졌다. 그동안 EU의 유해물질사용 제한지침(RoHS) 등에 대응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협력회사 파트너 인증제를 시행해 왔던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지난해 7월 공동인증체계를 구축한 것.
그 동안 삼성전자와 LG전자의 각기 다른 환경기준에 맞춰 평가를 받아온 협력업체들은 한결 시간과 비용 부담을 덜 수 있게 됐다. 분석기관 입장에서도 관리기준이 표준화되고 중복 평가를 하지 않아도 돼 업무효율을 제고할 수 있게 됐다.
삼성과 LG는 협약에 따라 전자진흥회 내에 '유해물질 분석기관(Eco-Lab) 인증 협의회'를 구성, 분기별로 상호교류하면서 평가절차와 방법을 단일화하는 상호인정지침도 마련했다. 또 ‘전자제품 유해물질 분석시험소 인증지침’을 단체표준화시켜 유해물질 인증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이 효율적으로 유해물질을 관리할 수 있게 했다.
윤종성 기자 jsyoon@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