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윤증현號 "시장 꿰뚫는 리더십 보여달라"

윤증현 호가 닻을 올렸다. 시장의 기대를 한몸에 안고 있지만 앞길은 어느때보다 험난하다.

윤증현 장관은 10일 과천 정부청사에서 가진 취임식에서 " 국민이 피부로 느끼는 어려움은 우리가 알고 있는 지표상의 숫자를 훨씬 뛰어넘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도 글로벌 위기의 영향으로 금년에 성장과 고용이 플러스를 보이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해 위기감을 드러냈다.

IMF외환위기의 파고를 이겨낸 경륜과 진동수 금융위원장, 윤진식 청와대 경제수석의 양 날개로 짜여진 진용은 '드림팀'으로 불리지만 상황은 결코 녹록치 않다.

수출은 최악 수준으로 급감했고 내수도 주저앉았다. 반면 국민 모두가 위기감을 피부로 느끼고 있어 정치권은 물론 이해집단들의 발목 잡기에 시달릴 가능성은 적어졌다. 위기앞에 강해지는 단결된 힘을 하나로 모을 수 있는 기회를 맞은 셈이다.

신속한 의사결정과 정확한 정책판단을 앞세워 시장을 꿰뚫는 리더쉽을 보여준다면 어느때보다 정책효과가 극대화될 시기다.

권순우 삼성경제연구소 거시경제실장은 "경제가 악화되면서 정책을 펴기는 오히려 수월해졌다"며 "정책 수용성은 높아지고 반발은 적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죄악시되던 '관치'를 자유롭게 펼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셈이다. 그러나 시장기능을 무시한 정부중심의 통제경제는 눈앞의 불은 끌수 있어도 성장동력 훼손이라는 '소탐대실'의 결과를 낳을 수 있는 만큼 경각심을 잃지 말아야 한다.

권 실장은 "기업 구조조정은 기업을 잘아는 은행이 해야 할 일이고 정부는 은행이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도록 지원하고 압박하는 선에서 멈춰야 한다"고 말했다.

일시에 상황을 역전시키겠다는 과욕 또한 경계해야 한다. 현재의 경제위기는 전세계가 치르고 있는 고속성장의 후유증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 몇개국만의 문제였던 IMF외환위기때와는 상황이 다르다.

윤세욱 메리츠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경제난 극복이 "시간과의 싸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의 경제난이 장관 하나 잘한다고 곧바로 뒤바뀔 문제가 아니다"라며 "경기부양책을 동원해 경제가 더이상 침체되는 것을 막는 브레이크 역할을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윤증현호는 시장의 신뢰를 얻고 있다는 점에서 강만수 장관보다 보다 유리한 위치에서 출발했다. 그러나 여기서 그치지 않고 '경제가 좋아질 것'이라는 믿음과 희망을 국민에 주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송일호 동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경제는 기대심리가 중요하지만 강장관 때에는 국민들의 기대심리가 낮아 소비, 투자가 모두 얼어붙었다"며 "국민을 안심시키고 신뢰관계를 회복하는게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진단했다.

김정민 기자 jmkim@asiae.co.kr
김재은 기자 aladin@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