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상 구조조정 사전작업 착수
금감원, 선제대응 명목으로 재무구조 평가나서
금융권 "자본확충펀드 재촉도 구조조정 대비"
금융당국이 대기업들의 자금사정을 본격 점검하고, 은행들의 자본확충펀드 가입도 재촉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이같은 일련의 흐름을 본격적인 대규모 구조조정에 앞선 사전작업으로 해석하는 분위기다.
금융감독원은 우리·산업은행 등 7개 은행에 44개 대기업그룹의 자금사정을 분석해 다음달 10일까지 평가서를 제출할 것을 요청했다고 22일 밝혔다.
금감원은 우선 가장 최근 분기보고서인 작년 9월말 기준으로 재무구조를 분석하도록 했다. 분기별 재무현황이 공개되지 않는 대기업 소속 비상장회사들도 포함된다.
평가 대상은 작년 4월 기준 주채무계열 43곳과 작년 하이마트 인수로 올해 주채무계열에 신규 지정될 예정인 유진그룹을 포함한 44곳이다.
주채권은행별로는 우리은행이 삼성ㆍLGㆍ두산ㆍ한화 등 16곳, 산업은행이 금호ㆍ한진ㆍ동부ㆍ동양 등 12곳이다. 이밖에 외환은행이 현대차ㆍ현대중공업 등 6곳, 하나ㆍ신한ㆍ국민은행도 각각 2~4개씩이다. 유진그룹은 하이마트 인수 당시 주도적으로 참여했던 농협이 평가를 맡는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번 평가는 구조조정이 목적이 아니라 시중 자금사정이 좋지 않기 때문에 선제적으로 모니터링을 해보자는 것"이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하지만 최근 금융당국 고위관계자들의 발언을 감안할 때 평가 결과에 따라 구조조정으로 확대될 개연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전광우 전 금융위원장은 지난 14일 대기업 구조조정과 관련 "문제가 있을 경우 금융당국이 적극 대응할 것"이라며 "상반기 경기침체 상황을 보면서 부실이 발생할 경우 선제적 구조조정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힌바 있다. 김종창 금융감독원장도 지난 20일 건설ㆍ조선업 1차 신용위험평가 결과 브리핑에서 "산업과 개별 대기업ㆍ그룹에 대해서도 유동성 상황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을 강화함으로써 부실징후를 조기에 차단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은행들의 평가 결과가 나오는대로 전체적인 잠재부실 규모와 금융권에 미치는 영향 등을 파악할 예정이다. 구조조정이 대기업그룹까지 본격 확산되기 위해서는 은행들이 기초체력이 필수적이다. 과감히 부실을 털어낼 수 있을 만한 자본력을 사전에 갖춰야하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이를 위해 그동안 은행들의 참여가 미미했던 자본확충펀드를 적극 독려키로 했다.
금융위원회는 전날 한나라당이 주재한 종합상황점검회의에서 우리ㆍ기업ㆍ광주ㆍ경남ㆍ농협ㆍ수협 등이 자본확충펀드 지원을 받을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보고했다. 이들은 광주·경남은행이 우리금융지주계열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펀드를 통한 자본확충 의사를 밝힌 은행들은 모두 정부의 컨트롤이 가능한 곳들이다.
금융위는 은행들의 우려처럼 자본확충펀드 지원을 받아도 은행 경영권에 간섭하지는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다른 은행들의 참여도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대기업 구조조정은 현재 진행중인 건설ㆍ중소조선업체 구조조정과는 차원이 다르기 때문에 은행들의 부담이 클 수 밖에 없다"며 "이를 위해 향후 은행권 자본확충이 필요성이 재차 강조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수익 기자 sipark@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