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이렇게..."
9일 결국 쌍용차의 최대주주인 상하이차가 쌍용차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사실상 쌍용차의 경영을 포기했다.
그동안 '쌍용차 살리기'에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해 왔던 상하이차가 결국 우려대로 '먹튀'수순을 밟는 듯한 모습에 관련자들은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쌍용차가 결국 법정관리까지 직면하게 된 데에는 경영진의 경영 전략 실패, 강성 노조라는 요인을 무시할 수는 없으나 무엇보다도 상하이차가 쌍용차의 경영 정상화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여 온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상하이차는 그동안 쌍용차 살리기에 적극적으로 나서기는 커녕 "대대적인 구조조정이 먼저 이뤄지지 않으면 철수하겠다"고 주장하며 발을 빼는 모습을 보여 '한국철수'수순을 밟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불러일켰다.
실제 상하이차는 지난 2005년 쌍용차 인수 이후 실질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쌍용차에 지급해야 할 기술개발 부담금 1200억원마저 뚜렷한 이유 없이 지급을 미뤄왔다.
여기에 최근까지도 쌍용차의 하이브리드 시스템 기술에 대한 상하이차의 유출 논란이 이어지며 이미 다양한 기술을 '빼먹을 만큼 빼먹은' 상하이차가 쌍용차를 살리는데 적극적일 필요가 없지 않겠느냐는 의견이 힘을 얻어왔다.
경영진의 경영 전략 실패도 한 요인으로 꼽힌다.
지난해 고유가로 인해 경차가 큰 인기를 끈 반면 RV와 대형 세단 판매가 위축되는 시장 상황으로 인해 RV와 대형차량을 주로 판매하는 쌍용타는 그 직격타를 입었다. 특히 지난해 총 판매량 9만 2665대로 전년 보다 무려 29.6%나 감소하는 등 불안한 모습을 보여왔다.
이에 따라 경차와 디자인 위주의 경영전략을 짜내며 선전했던 경쟁 완성차들과 달리 RV와 대형 세단 판매에 집중, 특히 디자인 면에서도 현격히 떨어지는 수준의 차들을 양산해왔던 쌍용차는 '경영진이 전략을 잘 못 짜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비난에 시달려왔다.
강성으로 꼽히는 금속노조 산하 쌍용차의 노조도 이같은 사태를 악화시킨 한 원인으로 꼽힌다.
쌍용차 노조는 적자 폭이 커진 지난 2006년 8월 구조조정이 실시되자 공장 출입문을 봉쇄하며 파업에 나서는 등 회사측과 원만하지 못한 관계를 보여왔다.
노조는 이사회에서 2억달러(약 2666억원) 지원하는 댓가로 2000명 감원을 요구하는 상하이차에 대해 "구조조정을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며 팽팽하게 맞서왔다.
이같은 요인들로 인해 끝까지 회생의 희망을 놓치 않으며 이사회 결과를 기다렸던 쌍용차는 결국 '법정관리'라는 결과를 받아들게 됐다.
안혜신 기자 ahnhye84@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