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소비자물가 1.9% 상승…올해 2.3%로 4년만에 최저(종합)

이달 소비자물가 전월 대비 0.4%P↑
석유류·농산물·가공식품 등 상승세

연간 소비자물가 2.3%로 1.3%P↓
신선식품 9.8% 올라 14년만 최고

12월 소비자물가가 1.9% 오르며 넉 달 연속 1%대 흐름을 이어갔다. 다만 환율 상승 영향으로 석유류 물가가 오르는 등 전월보다 물가 상승 요인이 늘었다.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3%로 4년 만에 가장 낮았지만 농산물 물가는 가파르게 올랐다. 정부는 내년 물가 상승률이 올해보다 낮을 것으로 봤지만, 다음 달의 경우 이달보다 상방 압력이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10월 서울의 한 대형마트 모습. 연합뉴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12월 및 연간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이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4.91(2020년=100)로 전년 동월 대비 1.9%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9월(1.6%) 이후 넉 달째 1%대의 낮은 흐름을 보였다. 다만 10월(1.3%)과 지난달(1.5%)에 이어 이달까지 상승 폭은 다소 커진 모습이다.

이는 서비스(2.1%)와 공업제품(1.4%), 농축수산물(2.6%), 전기·가스·수도(3.0%) 등 전반적인 물가가 전년 동월보다 상승했기 때문이다. 특히 석유류와 농산물, 가공식품 영향이 컸다. 석유류 물가 상승률은 1.0%로 전월(-5.3%)에 비해 오름세가 확대됐다. 농산물은 지난달 0.3%에서 이달 2.6%로, 가공식품은 1.3%에서 2.0%로 상승했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석유류는 환율 영향과 전년도 하락에 대한 기저 효과, 유류세 변화로 상승 전환했다"면서 "농산물은 작황 부진, 출하량 감소로 상승 폭이 확대했고 가공식품은 빵, 커피, 비스킷, 생수 등 일부 품목의 출고가가 인상했다"고 설명했다.

최근 가파르게 오른 환율이 아직 물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향후 물가에 추가로 반영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공 심의관은 "이달에 석유류는 (환율)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고 그 외 품목은 시차를 두고 반영될 수 있다"고 말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지수인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111.59)는 이달에 전년 동월 대비 1.8% 상승했다. 물가의 기조적인 흐름을 알 수 있는 국내 근원물가지수인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113.46)는 1.8% 올랐다. 소비자 체감도가 높은 생활물가지수(117.34)는 2.2% 올라 비교적 오름세가 두드러졌다.

연간으로 보면 올해 소비자물가지수(114.18)는 전년보다 2.3% 상승하며 2020년(0.5%) 이후 4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2022년 5.1%까지 뛰었지만 지난해 3.6%로 낮아진 뒤 올해 2%대에 머물렀다. 석유류 하락 폭이 줄고 농산물 물가 상승이 이어졌지만 나머지 품목에서 지난해보다 상승률이 둔화한 데 따른 결과다. 올해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가 2.2%,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는 2.1%, 생활물가지수는 2.7% 상승했다.

과일과 채소 등을 포함하는 신선식품지수는 9.8% 올라 2010년(21.3%) 이후 14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특히 신선과실 물가 상승률이 올해 17.1%로 2004년(24.3%) 이후 20년 만에 최고로 상승했다. 농산물의 경우 2010년(13.5%) 이후 14년 만에 가장 크게 오른 10.4%를 기록했다.

정부는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국제 유가 상승세 둔화와 근원물가 안정 등의 영향으로 올해보다 둔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음 달에는 석유류 기저효과, 설 성수품 수요 등으로 이달보다 상방 압력이 커질 것으로 봤다. 기획재정부는 "내년도 물가 안정세 정착을 위해 농축수산물 할인지원과 에너지·농식품 바우처 지원, 주요 식품원료 할당관세 지원 등의 정책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종중부취재본부 세종=김평화 기자 peace@asiae.co.kr세종중부취재본부 세종=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