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서율기자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취임 후 처음으로 네이버, 카카오 등 플랫폼사들을 만나 소상공인 지원 및 상생협력 방안을 협력하기로 했다. 소상공인의 인공지능(AI) 역량 강화를 위한 네이버의 600억원 투자, 카카오의 디지털 마케팅 교육 지원 등 각 플랫폼사는 소상공인의 디지털 전환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로 약속했다.
6일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유 장관은 이날 오전 8시 한국 프레스센터에서 네이버, 카카오, 쿠팡, 당근마켓 등 주요 플랫폼사 대표와 만나 플랫폼의 사회적 역할 강화 및 민생문제 해소를 위한 상생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이는 유 장관의 취임 후 첫 플랫폼사와의 만남이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모든 정부 부처가 원팀이 돼 소상공인을 돕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과기정통부도 디지털서비스의 역기능을 해소하고 디지털서비스 기반의 소상공인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디지털서비스 민생 지원 추진단’을 발족했다.
유 장관은 모두발언을 통해 “플랫폼 기업들이 소상공인이나 중소기업에 새로운 시장의 기회를 열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플랫폼의 영향력에 걸맞은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시장 참여자들과 함께 성장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그는 온라인 플랫폼 활용 업체가 미활용 업체보다 매출액은 높고, 폐업률은 낮다는 통계를 언급하며 "플랫폼이 소상공인의 판로 확대와 디지털 전환 등을 지원하면 소상공인들이 경쟁력을 키우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이는 플랫폼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플랫폼 활용 업체의 일평균 매출액은 100만원, 미활용 업체는 65만원이다. 폐업률의 경우 음식점업에서는 각각 6.9%, 11.5%이며, 생활서비스업에서는 각각 2.7%, 9.6%로 나타났다.
이봉의 서울대 교수는 ‘플랫폼의 가치와 플랫폼 정책에 대한 단상’을 주제로 발표했다. 이 교수는 “우리나라는 경쟁력 있는 토종 플랫폼을 몇 개 보유하고 있지만, 글로벌 빅테크에 뒤지고 있다”며 “K플랫폼이 중요한 국가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법과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주요 플랫폼 기업들은 상생협력 활동 현황 및 계획을 발표했다.
네이버는 중소상공인과 창작자들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만든 분수펀드를 확대?재편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원 프로그램을 강화하기로 했다. 분수펀드는 네이버의 상생협력 프로그램 ‘프로젝트 꽃’의 재원으로, 펀드 누적 금액은 6000억원을 넘어섰다. 또 100만 소상공인 대상으로 인공지능(AI) 솔루션 활용 역량을 높이기 위해 대규모 ‘SME AI 교육 프로젝트’에 향후 5년간 6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카카오는 소상공인들이 온라인 단골손님을 확보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 단골’ 지원 대상을 개별 시장·거리에서 도시 단위의 인접 시장·거리 전체로 확대한다. ‘프로젝트 단골’에 참여하면 디지털 마케팅 활용 교육을 위한 튜터가 파견되며, 카카오톡 채널 메시지 발송 비용 등이 지원된다. 카카오는 내년 전국 100여개 전통시장 및 거리를 지원할 계획이다. 업종별 특화교육, 단골 멘토 육성, 스타 단골가게 발굴 등 지원 프로그램도 강화한다.
또 카카오는 선물하기 교환권 정산 횟수를 월 4회에서 10회로 확대하고 신청한 소상공인 모두에게 카카오톡 채널 메시지 발송 비용을 1인 30만원씩 지원한다. 아울러 ‘코리아둘레길’과 연계해 지역 수산어가의 판로 확대도 지원할 방침이다.
쿠팡은 ‘과학기술·ICT 중소기업 전용관’을 신설하고 중소상공인 혁신 제품을 발굴해 할인 프로모션 비용을 지원한다. 또 지난해 출시한 판매대금 빠른 정산 서비스 대상을 오픈마켓 입점 사업자에서 로켓그로스(쿠팡이 상품 유통을 대행하는 서비스) 입점 사업자까지 연내 확대하기로 했다.
당근은 비즈프로필, 당근사장님학교 운영 및 ‘당근 동네사장님 어워즈’ 등 행사를 통해 지역 가게와 주민을 연계하고, ‘동네 일거리 박람회’로 지역 일자리를 연결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