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너무 많아, 75세 이상만'…식대 1만원 민간 경로잔치 취소됐다

"비용 증가로 올해부터 '75세 이상'만"
고령화에 연령 기준 높이거나 취소

올해 서울 동대문구 한 아파트 단지에서 매년 '가정의 달'마다 고령층을 대상으로 1만~1만5000원 상당의 식권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진행해온 경로잔치를 관리비 부담 등 이유로 취소했다고 연합뉴스가 18일 보도했다.

해당 아파트 입주민단체 관계자는 입주민의 고령화를 경로잔치 취소 이유로 꼽았다.

어버이날 나눔행사.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자료 사진.[사진=연합뉴스]

관계자는 "입주민들이 점점 나이를 드시니 아파트 관리비로 감당하기 쉽지 않다. 받는 분한테는 식권 금액이 많지 않을 수 있지만 그게 모이면 얘기가 다르니까"라며 "지난해 행사 참가 연령을 '65세 이상'에서 '70세 이상'으로 올렸음에도 부담이 커져서 어쩔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고령화로 인해 아파트 단지 등 민간 영역의 경로 행사에 변화가 생기고 있다. 노인 주민이 늘어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워지자 대상 연령을 높이거나 아예 취소하는 사례가 잇따른다.

경기 부천시의 한 아파트도 사정은 비슷하다. 입주민 단체가 주관하는 고령층 식사 대접 행사의 참여 연령 기준을 65세에서 75세로 크게 높였다. 700여 세대 아파트에 65세 이상만 150여명에 달해 인원을 줄이기 위한 어쩔 수 없는 기준 변경이었다.

지난해 한국의 65세 이상 인구는 973만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인구의 19.0%를 차지했다. 인구 당 노인 비율은 매년 높아지고 있다. 2015년 13.2%, 2020년 16.4%, 2022년 18.0% 등으로 내년에는 20%에 도달해 유엔(UN) 기준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다.

UN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이면 고령 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 사회로 구분한다.

일각에서는 민간 영역의 노인 복지가 줄어드는 데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어버이날 효도잔치에서 어르신들이 식사하고 있다.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자료 사진.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전용호 인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사업의 대상 자체가 많아지면 아무래도 경제적으로 어렵거나 지원이 필요한 사람들을 먼저 지원할 수밖에 없다"며 "우대 문턱이 높아지면 노인 복지의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있다"고 전했다.

덧붙여 "민간 영역에서 채워주지 못하는 사각지대에 대해선 공공에서 적극적으로 메워야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슈&트렌드팀 이소진 기자 adsurdis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