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소정기자
'세대 갈등이 심하다'고 응답한 국민은 지난 10년간 소폭 하락했지만 여전히 과반수는 세대 갈등이 심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는 19일 세대갈등의 현 수준을 분석한 이슈페이퍼 '지표와 데이터로 본 세대갈등'을 발간하고 이같이 밝혔다.
김한길 위원장은 이슈 페이퍼에서 "세대 갈등은 제로섬 게임이 아니라는 것을 염두에 두고 특위를 통해 주거·일자리 문제 등을 폭넓게 검토하면서 해결 방안을 찾아 나가겠다"고 말했다.
통합위가 인용한 한국행정연구원 한국사회통합실태조사에 따르면 세대 갈등이 심하다고 응답한 국민은 2013년 64.1%에서 2022년 59.6%로 소폭 하락했다. 하지만 과반수는 여전히 세대 갈등이 심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세대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4가지로 분석했는데, 첫 번째는 '가족 가치관'의 차이였다. 결혼과 출산, 이혼 등을 개인선택의 문제로 인식하는 비율은 전 세대에서 공통적으로 늘어났다.
'결혼은 반드시 해야 한다'는 응답은 2013년 20대 절반(50%)에 달했지만 2022년에는 단 7%만이 '그렇다'고 답했다.
'정치적 이념성향'도 세대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분석됐다. 지난 10년간 자신이 '진보적'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2013년 20대 29.9%, 60대 이상 8.5% 였지만, 2022년에는 각각 32.2%, 12.7%로 소폭 증가했다.
특히 본인 세대에서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지난 10년간 전 연령층에서 10%포인트 이상 하락했다.
세대 간 소통이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응답도 2013년 47%에서 2022년 63.2%로 지난 10년간 나이 고하를 막론하고 전체적으로 증가했다.
통합위는 "세대갈등은 복잡한 원인과 다양한 현상이 교차하는 사회적 문제로 세대 간 갈등을 줄이기 위해 계층과 젠더, 지역 등 여러 가지 다른 측면들을 함께 살펴야 한다"면서 "세대 구분 재정립, 세대별 정책 대상과 방향의 명확한 설정, 고령층 정보화 교육 등의 정책 개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