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춘희기자
현대인들이 자주 겪는 질환 중 하나가 소화기 질환이다. 스트레스나 불규칙한 식습관, 자극적인 음식의 섭취 등으로 인해 소화기 질환 환자는 급증하고 있다.
17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염증성 장 질환 환자는 2018년 약 6만5000명에서 2022년에 8만6000여명으로 5년 새 32%가량 늘었다. 중증 질환인 대장암 환자도 2017년 2만8000여명에서 2021년 약 3만2000명으로 14%가량 증가했다.
장 등 소화기가 좋지 않아 질환이 심해지면 삶의 질도 급격히 나빠진다. 음식을 조금만 잘못 먹어도 복부 팽만감, 복통, 설사 등의 증상이 갑작스럽게 찾아와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소화기 건강을 위해서는 장 건강을 챙기는 게 중요하다. 장 건강이 개선되면 소화기 건강뿐만 아니라 신체 전반이 건강해질 수 있다.
손효문 인천힘찬종합병원 소화기내과 부원장은 "장은 음식물을 소화하고 영양분을 흡수해 우리 몸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들어 주며 면역력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관"이라며 "수많은 신경세포 네트워크를 통해 뇌와 연결돼 있고 정신 건강에도 영향을 미치는 만큼 장 건강이 곧 신체 건강의 바로미터"라고 말했다.
장은 음식을 소화해 영양소를 흡수하고 노폐물을 배설하는 등 인체 대사의 필수적인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장 내에 존재하는 약 100조개의 미생물은 노폐물을 만들고 이를 배설할 수 있게 도와준다.
장은 면역력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독감, 코로나19 등 병원체로부터 우리 몸을 지켜주는 면역세포의 약 80%가 장에 분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장이 건강하면 면역력이 높아지고 감염병뿐만 아니라 각종 질병으로부터도 건강을 지킬 수 있다. 여기에 더해 장은 '행복 호르몬'으로 불리는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의 약 80~90%를 만들어낸다. 세로토닌은 행복하다는 기분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집중력과 기억력과 같은 인지능력 향상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렇듯 장은 섭취한 음식의 소화나 질병의 방어뿐만 아니라 기분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을 조절하는 등 육체와 정신건강 모두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 같은 장의 건강을 지키려면 유익균을 늘리고 유해균은 억제해 건강한 장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장 속에 사는 약 100조 개의 미생물은 크게 유익균과 유해균, 중간균으로 나뉜다. 장내 미생물 생태계가 유익균 85%, 유해균 15%로 구성될 때가 가장 이상적 균형으로 알려져 있지만 현대인들은 이 균형이 깨지면서 유해균이 더 높은 비율을 차지하기도 한다.
장내 유익균을 늘리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하는 일은 건강한 식습관이다. 단백질 섭취는 붉은 고기보다 생선, 가금류, 콩류 등으로 하고, 식이섬유가 풍부한 야채·과일을 많이 먹는 게 좋다. 통곡물(현미, 통밀 등) 위주의 탄수화물과 김치, 된장, 요구르트 등 발효식품을 자주 섭취하는 것도 장내 유익균을 늘리는 데 도움이 된다. 반대로 패스트푸드나 가공육, 정제 탄수화물, 액상과당 등은 많이 섭취하면 유해균이 늘어나기 때문에 가급적 줄이는 게 좋다.
식단 외에 심리적인 스트레스, 수면, 신체활동 등도 장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스트레스는 장운동을 저해하고 민감성을 증가해 장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스트레스를 덜 받는 환경을 조성하고 충분히 자는 게 중요한 이유다.
운동도 장 건강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된다. 걷기나 조깅 등 유산소 운동을 매일 30분 이상 해주면 장 활동이 원활해지고 장 내 염증이 줄어들어 장 건강을 강화할 수 있다. 충분한 수분 섭취도 장 건강을 위해 꼭 필요하다. 물은 장 운동성을 원활하게 유지하고 소화 과정을 촉진하며 배변 활동을 돕기 때문이다.
손효문 인천힘찬종합병원 부원장은 “장은 건강의 척도가 되는 기관인 만큼 식습관과 생활 습관의 개선을 통해 장 건강을 꾸준히 유지해야 한다”며 “증상이 있으면 조기에 진료를 받고, 꾸준한 건강검진을 통해 장 건강을 정기적으로 체크하는 것이 장 건강을 키우는 첫걸음”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