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권리당원 비중 강화' 당무위 의결…비명계 반발

민주당 당무위, 권리당원 비중 강화안 의결
권리당원 표 비중 ↑…표 가치 현행 3배로
李 "제도란 모두 동의 아닌 양해 필요한 일"

더불어민주당은 27일 당무위원회를 열고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선출하는 전당대회에서 '권리당원 비중'을 높이는 내용의 당헌·당규 개정안을 의결했다. 비명계를 중심으로 '차기 당 지도부를 차지하기 위한 친명(친이재명)계의 포석'이라는 비판이 제기된 가운데 이번 당헌당규 개정을 계기로 당내 계파갈등은 더욱 확산될 조짐이다.

권칠승 수석대변인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무위 직후 기자들과 만나 전당대회 후보자 본선 진출 규정에서 대의원과 권리당원 비중을 70%로 하되, 반영 비율을 20대 1 미만으로 조정하는 당규 개정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해당 안건은 다음달 7일 중앙위원회 의결을 거칠 예정이며, 그대로 확정되면 내년 8월 전당대회부터 적용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7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김현민 기자 kimhyun81@

현행 규정상 민주당 전당대회 투표는 '대의원 30%, 권리당원 40%, 일반국민 25%, 일반당원 5%' 비율로 진행된다. 권리당원 60표가 대의원 1표에 해당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비중 조정안에 따라 권리당원의 표 가치가 3배 이상 높아지게 된다.

그간 친명계를 비롯한 강성 당원들은 '표 등가성' 차원에서 권리당원 표 비중의 확대를 주장해왔다. 민주당은 지난해 8·28 전당대회 때도 이미 한 차례 '룰 수정'을 진행한 바 있다. 당시 '대의원 45%, 권리당원 40%, 일반국민 10%, 일반당원 5%' 반영 규칙을 현행으로 변경했는데, 이 역시 대의원 표 비중을 줄여 권리당원 표 가치를 상대적으로 키운 것이었다.

당내 일각에선 '대의원제 무력화' 논란이 불거지면서 계파 갈등이 격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비명계를 중심으로 '사실상의 대의원제 폐지', '개딸을 위한 꼼수'라는 반발이 제기되고 있다. 조응천 의원은 이날 KBS 라디오 인터뷰에서 "강성 지지층의 영향력을 계속 확대하는 쪽으로 바꿔 왔기 때문에 지금 와서 갑자기 유턴한다고는 기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 같은 비판은 내년 전당대회에서도 이재명 대표의 강성 지지층이 다수 포진한 권리당원의 '입김'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포석이라는 의심이 깔려 있다.

이재명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의원과 권리당원 간 1인 1표에 대한 열망이 큰 건 사실"이라며 "그 방향으로 가야 하지만, 단번에 넘어서긴 어려운 벽이어서 점진적으로 바꿔나가는 점을 이해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어 "당에 다양한 입장이 있고 제도란 모든 사람이 동의하는 게 아니라 소위 양해해야 하는 것이니, 충분한 협의를 거쳐 의견을 모아가겠다"고 덧붙였다.

권 수석대변인도 '당내 비판 여론'을 묻는 말에 "20대 1 정도는 그래도 당내 공감이 있는 범위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한편, 민주당은 이날 당무위에서 내년 총선 때 '선출직 공직자 평가' 하위 10%에 든 현역 의원의 경선 득표 감산 비율을 현행 20%에서 30%로 상향하는 안건도 의결했다.

정치부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