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정책 개선 없인 2050년까지 전세계 GDP 20% 감소 전망'

WMO "1970년 이후 기상이변으로 3.6조 달러 경제적 손실"
"글로벌 GDP의 55%가 자연에 의존"

현재의 기후정책이 유지된다면 전 세계 평균 GDP(국내총생산)가 2050년까지 약 20% 감소할 거라는 전망이 나왔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29일 '최근 국제사회의 기상이변 대응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온실가스 배출 증가로 인한 기후변화는 폭염 지속 일수, 가뭄 일수, 산불 발생 가능성, 폭우 등 기상이변의 빈도를 증가시키는 요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보고서는 세계기상기구(WMO)의 8월 자료를 인용하며 “기상이변 발생 건수는 지난 50년 사이 6배 이상 증가하면서 1970년 이후 기상이변으로 인해 약 3조 6000억 달러의 경제적 손실이 초래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손실은 선진국보다는 개발도상국에서 더 큰 비중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경제적 손실은 대부분 선진국에서 발생했으나 선진국 GDP의 3.5%를 초과하는 재해는 없었고, 그에 반해 최빈개도국은 재해의 7%, 소도서 개발국은 재해의 20%가 모두 GDP의 5% 이상에 해당하는 경제적 손실을 초래했다”고 설명했다.

기상이변에 따른 경제적 손실은 획기적인 기후정책 개선이 없는 한 불가피하다.

연구원에 따르면 비영리기구 크리스천 에이드(Christian Aid)는 지난 9월 발표한 자료에서 “지금의 기후정책을 유지한다면 전 세계 평균 GDP는 2021년을 기준으로 2050년까지 -19.6%, 2100년까지 -63.9%로 감소하고, 파리협정을 바탕으로 국가들이 지구 온도 상승을 1.5℃로 유지하더라도 기후변화에 취약한 국가의 경우 2050년까지 평균 GDP가 -13.1%, 2100년까지 -33.1%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제사회는 생물 다양성 손실, 기상이변, 기후변화 대응 실패를 주요 위험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자연의 기능과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을 주목하고 있다. 보고서는 “글로벌 GDP의 55%가 자연에 의존하고 있으나, 기후변화나 오염 등으로 인한 자연 훼손 및 생물 다양성 손실이 기업 활동에 위험요인이 되고 있다”며 “세계경제포럼기구(WEF)는 향후 10년 내 중요한 위험 중 하나로 자연 재해 및 생태계 손실을 지적하고 있으며, 2030년에는 생태계 손실로 인해 전 세계 GDP의 2조 7000억 달러가 감소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적응 지원에 대한 수요 증가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 나온다. 보고서는 “기상이변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비상 대응, 재해 예방, 재건 및 재활 지원도 중요하지만, 보다 근본적으로 경제·사회 인프라 측면에서 위험 관리 및 기후변화 적응에 대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경제금융부 박유진 기자 geni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