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콕!건강]찜통 더위에 식중독 주의…손은 씻고, 음식은 익히고

연일 35도를 넘는 무더위와 높은 습도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날씨는 음식물이 상하기 쉬워 식중독 사고가 일어날 위험성이 높아지는 환경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기온이 1도 오를 때마다 식중독 발생 건수는 5.3% 증가하고 식중독 환자 수도 6.2% 늘어난다. 실제 식품의약품안전처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식중독 발생 총 304건 중 여름(6~8월)에 발생한 건수는 127건으로 약 42%를 차지했다. 환자 수 역시 총 5410명 중 2216명(41%)이 이 시기에 발생했다.

[사진제공=힘찬병원]

손효문 인천힘찬종합병원 소화기내과 부원장은 “여름철 식중독 예방은 개인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고 음식은 충분히 익혀 먹도록 해야 한다”며 “식중독은 세균이나 세균이 만든 독이 포함된 음식을 먹은 후 복통, 설사, 구토, 피부 두드러기, 감염증 등과 같은 증상을 호소한다”라고 설명했다.

여름철 주요 식중독은 '세균성 식중독'

식중독은 인체 유해 미생물이나 유독물질이 들어있는 식품을 섭취했을 때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이다. 보통 72시간 이내에 발병한다. 식중독균의 번식 속도는 세균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35~36도 내외에서 가장 빠르다. 식중독균은 종류에 따라 잠복기와 증상의 정도가 다른데 보통 살모넬라균, 포도알균(포도상구균), 비브리오균, 대장균 등 세균성 식중독이 여름철에 주로 발생한다.

살모넬라균은 상한 닭고기나 달걀, 우유에서 많이 검출된다. 열에 취약하기 때문에 65도 이상 온도에서 30분 넘게 음식을 가열하면 제거된다. 포도알균에 의한 식중독은 균이 생산하는 독소가 원인이다. 음식을 끓이면 균은 죽지만 독소는 소멸하지 않아 음식을 이미 부패했다면 끓여 먹더라도 안심할 수는 없다. 만약 음식이 상했다고 생각하면 과감히 버리는 편이 낫다.

비브리오균은 어패류를 날것으로 섭취하면 생기기 쉬운 식중독균이다. 조개류나 생선 등을 날로 먹을 때는 장염비브리오균에 의한 식중독 사고를 조심해야 한다. 설사, 복통과 함께 오한이나 발열, 의식 혼탁 등 전신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증상이 심하면 즉시 의료기관을 찾아 치료받아야 한다. 병원성 대장균은 주로 오염된 식수나 음식물을 통해 감염이 이뤄진다. 장 출혈성 대장균은 영유아, 노약자가 감염되면 중증으로 진행될 위험성이 커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다만 식중독의 대표적 증상인 복통은 그 원인이 수없이 많아 통증 양상만으로 일반인이 식중독을 구별하기는 쉽지 않다. 실제 응급실에서 복통 질환을 감별할 때는 증상만으로 판단하지 않고 복부 초음파, 컴퓨터단층촬영(CT) 등을 활용한다. 따라서 식중독은 문제가 될 만한 음식을 섭취했는지, 구토·복통·설사가 거의 동시적으로 급속히 발생했는지 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과민성 대장으로 인한 일반적인 증상은 배변 후 조금 편해지지만, 식중독으로 인한 복통과 설사는 길게 지속되고 발열이 동반된다는 차이점도 있다.

제일 중요한 건 '수분 섭취'

식중독의 원인균은 달라도 공통으로 필요한 것은 충분한 수분 섭취다. 식중독 환자는 장 점막이 손상되고 소화 흡수 기능이 줄어든 상태로 곧바로 음식을 먹으면 흡수를 못 해 설사가 악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일차적 치료로 구토와 설사로 손실된 수분을 보충하고 전해질 불균형을 바로잡기 위한 수분 공급이 꼭 필요하다. 설사가 줄어들면 미음, 쌀죽 등 기름기 없는 음식부터 먹는 게 좋다. 구토가 심해 입으로 수분 섭취가 불가능하거나 열이 동반되는 등 증상이 심하다면 병원에서 수액, 항생제 처방 등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무엇보다 예방수칙 준수가 중요하다. 세균 번식이 쉬운 손은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씻는 것이 좋고, 물은 끓여 먹는 것을 권장한다. 육류는 75도, 어패류는 85도 이상의 온도에서 1분 이상 익히고, 채소류는 흐르는 물로 깨끗이 씻은 후 바로 섭취하거나 냉장 보관하는 게 바람직하다. 특히 익힌 음식은 익히지 않은 음식과 분리해 안전한 온도에서 보관하는 게 필요하다. 식기와 조리도구, 행주 등은 끓는 물로 자주 살균해 주는 것이 좋다.

손효문 부원장은 “보통의 면역력과 체력을 가진 사람이라면 식중독에 걸려도 금방 자연 치유될 수 있다"면서도 "고열이 나거나 복통과 설사 증상이 이틀 이상 지속될 경우 병원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바이오중기벤처부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