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 고배…반도체산업 자체 육성”

대전시가 지역 산·학·연·관의 역량을 결집해 반도체산업을 육성한다. 반도체산업 육성은 정부의 반도체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에 포함되지 않음에 따라 추진하게 되는 자구책이다.

20일 대전시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나노종합기술원 등 지역 연구역량을 연계해 지역에 반도체 혁신생태계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대전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조감도. 대전시 제공

대전 반도체 혁신생태계는 대덕연구개발특구 1~3지구와 지난 3월 선정된 유성구 교촌동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를 연계한 1226만평 부지에 터를 잡아 조성한다.

우선 대전시는 나노·반도체 국가산단에 연구·교육캠퍼스, 설계캠퍼스, 제조캠퍼스를 조성해 수도권 반도체 생산거점과 협력할 수 있는 연구개발(R&D) 혁신형 산업단지로 육성할 계획이다.

현재 이곳에는 지역 안팎의 266개 기업이 투자의사를 밝힌 상태다.

대전시는 2029년까지 국가산업단지를 준공할 계획으로, 현재는 국토교통부와 사업자 지정을 협의하는 중이다.

대덕특구 1~3지구는 연구개발과 인력양성의 배후단지 역할을 맡아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와 함께 반도체 혁신생태계의 한 축을 담당하게 할 구상이다.

대전시는 향후 국가첨단반도체기술센터(ASTC)를 유치해 대전을 반도체 연구·교육·실증 거점으로 조성하는 방안도 내놨다.

또 소재·부품·장비 실증평가원을 설립해 기업의 실증지원을 강화하고, 친환경 첨단공정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20일 대전시가 내놓은 '반도체산업 연구개발(R&D) 혁신생태계 조성' 구상안. 대전시 제공

앞서 대전은 KAIST가 반도체공학대학원·인공지능반도체대학원·양자대학원, 충남대가 반도체공동연구소·반도체특성화대학, 한밭대가 반도체 조기 취업형 계약학과 등 6개 인재양성 사업에 선정돼 5년간 1484억원을 지원받게 되는 성과를 올렸다.

이는 앞으로 반도체 인력 부족을 해결하고, 기업에게 인재를 적시에 공급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라는 게 대전시의 설명이다.

대전시는 산·학·연·관 혁신주체의 역량을 결집해 2025년까지 기능을 연계·강화함으로써 2031년까지 지역에 완성형 반도체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지역의 미래전략은 지방정부 주도로 일관적이고, 확고하게 이끌어 나가야 한다”며 “대전시는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 무산과 관계없이, 대전을 국가 반도체 경쟁력 강화의 핵심 축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헀다.

세종중부취재본부 세종=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