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지웅 '서초 교사 사망 장소로 교실 택해 마음 아파'

"교권이란 말 자체에 문제가 있다" 지적도

작가 허지웅이 서울 서초구의 한 초등학교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은 교사에 애도를 표하며 자신의 소신을 밝혔다.

작가 허지웅 [사진출처=인스타그램]

20일 허지웅은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어느 젊은 교사의 삶이 자신이 가르치던 교실에서 영원히 멈춰 섰다", "다른 무엇보다 장소가 가장 마음 아프다"라며 "그곳이 아니면 개인적인 사유로 취급되거나 묻힐 거라 여긴 거다"라고 적었다.

이어 허지웅은 '교권'이라는 말에 대한 자기 생각도 밝혔다. 그는 "학생들의 인권이 올라간 탓에 교사들의 인권이 떨어졌다는 건 틀린 말이다", "교권이란 말 자체에 문제가 있다"라며 "누군가의 인권을 되찾는 일이 다른 누군가의 인권을 위협했다면 그건 애초 인권의 문제가 아니었던 것"이라고 전했다.

또 그는 "교권이란 말은 교실에서 학생의 권리와 교사의 권리가 따로 존재하고 서로 상생할 수 없다는 논리를 전제하지만, 인권은 누가 더 많이 누리려고 애쓸 수 있는 땅따먹기가 아니다"라며 "과거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이 당했던 폭력과 부조리를 정상으로 애써 돌려놨다면, 그간 악습으로 위태롭게 눌러왔던 것들을 원칙과 절차를 통해 규제할 수 있는 엄정한 도구 또한 함께 고민해야 했다"라고 덧붙였다.

허지웅은 "보나 마나 서로 탓을 돌리는 정치권과 진영의 공방이 이어질 것"이라며 "저는 남 탓을 하기보다 문제를 해결할 의지와 결과물을 가지고 나올 쪽에 서겠다"라고 글을 마무리했다.

서이초등학교 앞에 놓인 국화꽃과 추모메시지 [사진출처=연합뉴스]

앞서 지난 18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이초등학교 교내에서 20대 여성 교사 A씨가 숨진 채 발견됐다. 교육계와 인터넷 커뮤니티에선 신규 교사인 A씨가 학교폭력 업무를 담당하며 학부모 민원에 시달렸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그러나 20일 서이초등학교 권선태 교장은 입장문을 통해 "고인의 담당 업무는 학교폭력 업무가 아닌 나이스(NEIS) 권한 관리 업무였으며 본인이 희망한 업무였다"라고 밝혔다. 이어 "해당 학급에선 올해 학교폭력 신고 사안이 없었으며, 학교폭력과 관련해 해당 교사가 교육 지원청을 방문한 일도 없었다"라고 덧붙였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성명을 통해 "작금의 상황을 한 교사가 당한 참담한 교권 침해를 넘어 전체 공교육의 붕괴로 엄중히 받아들인다"라며 "관계 당국은 철저한 사실 규명을 통해 조속히 진상을 밝혀야 한다"라고 촉구했다.

이슈2팀 한지수 인턴기자 hjs17450@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