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 '펙수클루' 출시 11개월만에 누적 처방 300억 돌파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기존 PPI 단점 개선 'P-CAB' 제제

대웅제약의 칼륨 경쟁적 위산 분비 억제제(P-CAB) 계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성분명 펙수프라잔염산염)'가 출시 11개월 만에 누적 처방액 300억을 넘어서며 P-CAB 시장의 성장을 동반 견인하고 있다.

대웅제약의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 [사진제공=대웅제약]

21일 의약품 표본 통계정보인 유비스트(UBIST)에 따르면 펙수클루의 누적 처방액은 지난 5월 기준 319억원이다. 지난해 7월 출시 이후 월평균 15%의 성장세를 이어가며 6개월 차 100억원, 9개월 차 200억원 돌파에 이어 11개월 차에 300억원을 돌파하며 점차 기준점 돌파 속도가 빨라지는 모습이다.

펙수클루 등 P-CAB 제제는 기존의 양성자 펌프 억제제(PPI) 제제의 단점인 느린 약효 발현과 식이 영향, 약물 상호 작용 등을 개선한 차세대 치료제로 꼽힌다. 특히 펙수클루는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중 반감기가 9시간으로 가장 길어 한 번 복용만으로도 약효가 오래 가 야간 속쓰림 증상 등을 현저히 개선했다는 설명이다.

기존 HK이노엔의 '케이캡'에 이어 펙수클루가 가세하면서 P-CAB 계열 치료제 시장도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유비스트 통계에 따르면 지난 1분기 P-CAB 시장 규모는 477억원으로 펙수클루 출시 전인 전년 동기 311억원 대비 54% 늘었다.

[이미지출처=대웅제약]

대웅제약은 펙수클루의 적응증과 복용 편의성을 위한 제형 확대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현재 펙수클루는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와 급성위염 및 만성위염 위점막 병변 개선의 적응증을 확보했다. 여기에 더해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후 유지 요법, 헬리코박터 제균을 위한 항생제 병용요법 등 적응증 추가를 위한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복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물 없이 입에서 녹여 먹는 구강붕해정과 정맥주사(IV) 제형에 대해 개발도 하고 있다.

이창재 대웅제약 대표는 “출시 1년도 안 돼 300억원을 돌파한 기록은 펙수클루가 P-CAB 계열 치료제 중 차세대 대표 주자로 우뚝 섰다는 뜻”이라며 "펙수클루의 성장세가 가파른 만큼 올해 안으로 매출 1000억원 수준 달성이라는 목표를 현실화하고, 위식도역류질환의 치료 패러다임을 PPI에서 P-CAB으로 바꾸는 ‘게임 체인저’로서 입지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바이오헬스부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