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임신한 여성들이 자꾸 유산합니다"…발암 물질 섞인 수돗물에 日 '패닉'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선진국 중 규제 가장 늦었다" 전문가도 비판

일본에서 과불화화합물(PFAS) 수돗물을 사용했다는 피해 사례가 잇따라 나오면서 당국이 전국 단위 전수조사에 착수했다. PFAS는 발암성 화학물질이다.


26일(현지시간) '산케이신문' 등 현지 매체는 일본 정부가 지난달 전국 47개 도도부현(광역자치단체) 담당 부서 및 수도 사업자 등에 수돗물 오염 실태 파악을 요청하는 문서를 발송했다고 보도했다. 조사는 오는 9월까지 이뤄지며, 조사 내용은 수돗물에서 검출된 PFAS 농도 및 정수정 정보다.


매체에 따르면 일본은 이전에도 PFAS와 관련한 조항을 수도 조사에 포함해 왔다. 그러나 올해처럼 전국 단위로 대대적인 조사를 진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임신한 여성들이 자꾸 유산합니다"…발암 물질 섞인 수돗물에 日 '패닉' 수돗물. 사진은 기사 중 특정 표현과 관련 없음 [이미지출처=픽사베이]
AD

PFAS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유기불소 화합물이다. 프라이팬 코팅, 반도체 공정 등 여러 제조업에 쓰이고 있다. 그러나 자연적으로는 분해되지 않고, 생물의 몸에 축적되기도 쉽다. 또 인체에 노출되면 암 등 각종 질환을 유발하는 발암 물질이기도 하다.


미국 환경보호국은 지난 4월 PFAS의 대표격 물질인 퍼플루오로옥탄산(PFOS), 퍼플루오로알킬(POFA) 취급에 대해 각국에 엄격한 기준을 마련해 대책을 세울 것을 주문했다.


최근 수년간 일본에서는 관련 피해가 확산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10월 오카야마현의 요시비 주오마치 마을이 대표적인 피해 지역으로, 일본 정부의 잠정 목표치인 1리터(ℓ)당 50나노그램(ng) 대비 약 28배에 달하는 1400ng의 PFAS가 검출됐다.


문제가 확인된 뒤 이 마을은 수돗물 사용을 중단하고, 근처 급수소에서 물을 길어 사용 중이다. 그러나 주민 상당수가 이미 수돗물에 노출된 것으로 전해졌다.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혈액 중 PFAS 농도는 20ng/㎖로 알려졌다. 그러나 일본 NHK 방송이 현지 일부 주민의 혈액을 검사한 결과, 검사를 받은 27명 모두 이 수치를 웃돈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혈중 PFAS 농도가 362.9ng/㎖로 위험 수위에 도달한 한 60대 여성은 4년 전부터 이상지질혈증 진단을 받고, 약물 치료를 받고 있다. 이상지질혈증은 PFAS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류되는 질환이다. 또 마을의 30~40대 여성 5명 중 3명은 유산을 경험했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 내 전문가들은 PFAS에 대한 일본 정부의 대응이 늦었다고 비판한다. 고이즈미 아키오 교토대 명예 교수는 "일본은 선진국 가운데 PFAS 규제가 가장 늦은 국가"라며 "수원이 마르면 농도 역시 높아지게 되므로, 결과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여러 차례 조사하고 수치에 따라 주민의 건강 조사도 실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임주형 기자 skeppe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