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관료들 뱃놀이 그린 '독서당계회도' 보물 됐다

'수능엄경의해 권9~15' 등과 함께 보물로
미국서 환수한 그림…역사·미술사적 가치 높아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지난해 미국에서 환수한 '독서당계회도(讀書堂契會圖)'가 보물로 관리된다. 문화재청은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安城 靑龍寺 金銅觀音菩薩坐像)', '수능엄경의해 권9~15(首楞嚴經義海 卷9~15)', '이항복 해서 천자문(李恒福 楷書 千字文)'과 함께 보물로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했다고 28일 전했다.

독서당계회도

독서당계회도는 사가독서한 관료 모임인 계회를 그린 작품이다. 시기는 조선 중동대인 1516~1530년으로 추정된다. 문화재청 측은 "하단의 좌목(座目·관리들이 모였을 때 앉은 차례를 적은 목록)에 언급된 인물들의 관직을 조선왕조실록과 각종 문집에서 확인한 결과 계회가 1531년(중종 26) 즈음 열렸다고 여겨진다"며 "그림도 당시에 그려졌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가독서(賜暇讀書)는 젊고 유능한 문신을 선발한 뒤 휴가를 주어 학문에 전념하도록 한 인재 양성책이다.

독서당계회도는 한 폭의 족자 형태다. 화면 맨 위에 '독서당계회도'라는 제목이 전서체로 적혔다. 중앙의 그림에는 두모포(豆毛浦·현 서울시 옥수동 한강변 일대) 일대의 자연 풍광과 독서당, 사가독서한 주인공들이 한강에서 뱃놀이하는 장면 등이 묘사됐다. 먹으로 묘사한 산수는 안견을 추종한 산수화 유파인 안견파(安堅派)의 화풍이다. 멀리 있는 산을 석청 안료를 사용해 짙은 청색으로 표현했다. 화면 아래 좌목에는 계회 참석자 열두 명의 호(號), 이름, 자(字), 본관, 생년, 사가독서 연도, 과거 급제 연도 등이 해서체로 기록됐다. 문화재청 측은 "후대 제작된 상단 표제·중단 그림·하단 좌목 형태의 계회도로는 제작 시기가 가장 앞선다"며 "조선 초기에 성행한 관념 산수화와 달리 실제 한강 주변의 풍경을 그린 실경산수화라는 점 등에서 역사·미술사적 가치가 높다"고 설명했다.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

안성 청룡사 금동관음보살좌상은 고려 후기(14세기)에 제작된 결가부좌 형태의 보살상이다. 머리에 화려한 보관을 쓰고 통견을 입었다. 오른손은 들고 왼손은 내렸는데 각각 검지와 중지를 맞댄 설법인(說法印)의 수인(手印) 자세다. 갸름한 얼굴과 복스러운 표정, 보계와 귀걸이, 고개를 앞으로 내민 구부정한 자세 등은 고려 후기 전통 양식으로 이해되는 일군(一群)의 보살상과 흡사하다. 다소 좁고 왜소한 어깨와 긴 허리, 높은 무릎 등의 표현은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변화를 보여준다. 문화재청 측은 "대부분 나무로 만들어진 같은 양식의 보살좌상과 달리 금동으로 제작되었다는 점, 복장에서 발견된 중수발원문을 통해 그 내력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 등에서 점 등에서 역사·미술사적 가치가 높다"고 평가했다.

수능엄경의해 권9~15는 인도 승려 반라밀제가 중국 당나라로 전래해 한역한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10권을 중국 남송의 함휘가 서른 권으로 엮은 주해서(註解書·본문 뜻을 알기 쉽게 풀이한 책) 가운데 권9~15에 해당한다. 간행 시기, 간행처, 간행자 등을 적은 각 권말의 간기(刊記)를 통해 조선 세조 8년(1462) 간경도감에서 경판을 만들어 간행된 사실이 확인된다. 간경도감은 1461~1471년 불경의 번역과 간행을 담당하던 임시 관청이다. 문화재청 측은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전 30권 판본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양을 온전히 갖추고 있다"며 "인쇄 상태도 뛰어나고 보존 상태도 양호하다"고 설명했다.

이항복 해서 천자문

이항복 해서 천자문은 선조 40년(1607) 이항복(1556~1618)이 손자 이시중(1602∼1657)을 가르치기 위해 직접 써서 내려준 천자문이다. 본문 125면과 발문 1면으로 구성됐다. 앞 면지 이면에는 두 개의 백문방인(白文方印·찍으면 글씨가 하얗게 나오는 네모난 모양의 인장)인 ‘청헌(聽軒)’과 ‘월성세가(月城世家)’가 찍혔다. 전자는 이항복의 6대 종손인 이경일(1734∼1820)의 호다. 본문인 125면에는 해서로 1000자가 쓰였다. 각 글자 아래에 한글로 음과 뜻이 적혔다.

책 끝에는 이항복이 행초서로 쓴 발문이 있다. “정미년(1607년) 이른 여름(음력 4월) 손자 이시중에게 써 준다. 오십 노인이 땀을 뿌리고 고생을 참으며 썼으니 골짜기에 던져서 이 뜻을 저버리지 마라[丁未首夏, 書與孫兒時中. 五十老人, 揮汗忍苦, 毋擲牝以孤是意]”는 내용이다. 제작자와 제작 시기는 물론 이항복이 후손 교육에 쏟은 관심과 애정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문화재청 측은 "한 글자가 약 8㎝로 가장 크고, 시기도 가장 이른 육필 천자문"이라며 "한자 밑의 한글 음과 뜻은 이 시기 한글 변천 연구에 있어 중요한 국어사적 자료"라고 평가했다.

문화스포츠부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