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서울 중랑구 '자율주택정비 ·도시재생' 결합 모델 추진

[아시아경제 유인호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서울 중랑구에서 자율주택정비와 도시재생이 결합된 새로운 사업 모델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22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LH와 서울 중랑구 주민들이 공동으로 추진중인 ‘LH참여형 자율주택정비사업’이 국토교통부의 ‘도시재생 인정사업’에 선정됨에 따라 가능해졌다.

서울 중랑구 일원 사업대상지는 준공 후 30년 이상 지난 연립주택·다세대주택 2개동으로 구성된 노후 주거지역이다. 지난 4월 이 지역 주민들이 건물노후화와 건물옹벽 균열 등으로 주거환경 개선·안전 확보가 필요해 LH에 공동사업을 제안하며 자율주택정비사업이 착수됐다.

자율주택정비사업은 2인 이상의 주택소유주가 직접 노후주거지에 새로운 주택을 건설하는 정비사업이다.

이번에 도시재생 인정사업이 함께 추진되면서 해당 지역에 총 사업비 217억원(국·구비 지원 59억원)이 투입돼 내년 말까지 지하 2층, 지상 7층 규모 복합 건축물이 조성된다.

신축 건물의 상충부에는 주택 60세대가 건설돼 LH가 신혼부부·청년 대상 임대주택으로 활용한다. 저층부에는 마을주차장 48면(연면적 2118㎡)이 조성돼 중랑구가 주차난 해소를 위한 공영주차장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자율주택정비와 도시재생이 결합된 첫 번째 사례라는 데 의미가 크다. LH는 자율주택정비 공동사업시행자로서 사업비 융자, 주택 매입약정, 재정착 지원을 제공한다.

LH는 이번 사업기획 단계부터 주민들과 함께 임대주택 공급 등 지역재생을 위한 공공기여 방안을 논의해 왔다. 사업 대상지 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 주민들도 정비사업의 혜택을 볼 수 있도록 중랑구에 도시재생 뉴딜사업 공모 참여를 통한 생활SOC 확충을 건의했다.

이같은 건의를 중랑구가 받아들이면서 사업 대상지에 주차장을 설치하는 도시재생 사업을 제안한 결과, 21일 도시재생 인정사업으로 최종 선정됐다.

자율주택정비사업에 도시재생이 결합되면서 주민들은 기존 사업비에 더해 국비·지방비를 추가로 지원받게 됐다. 중랑구는 서울시 평균 132% 대비 21%p 부족한 해당 지역의 주차장 확보율을 개선하게 됐다.

박현근 LH 도시정비사업처장은 “자율주택정비사업은 노후 저층주거지에서 주택을 신속하게 공급하는 획기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며“이번 사업을 계기로 주택공급 확대와 지역 활성화를 동시에 이룰 수 있도록 다양한 사업모델을 발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유인호 기자 sinryu007@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유인호 기자 sinryu00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