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제조업 종사자 7.9만명 줄어…역대 최대폭 감소

고용노동부 '10월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 발표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여파로 지난달 제조업 종사자 감소폭이 또다시 역대 최대 기록을 깼다.

고용노동부가 30일 발표한 '10월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마지막 영업일 기준으로 제조업의 1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는 366만2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7만9000명(2.1%) 감소했다.

월별 제조업 종사자 감소 폭으로는 사업체 노동력 조사 고용 부문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9년 6월 이후 최대 규모다.

제조업 종사자는 국내 코로나19 확산이 시작된 올해 2월 마이너스로 돌아섰고 6월부터는 7만명대 감소 폭을 이어가고 있다.

제조업의 고용 부진은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확산에 따른 수출 부진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서비스업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의 직격탄을 맞은 숙박·음식업 종사자가 16만2000명 감소했고 여행업을 포함한 사업시설관리업(-6만4000명), 도소매업(-5만6000명), 예술·스포츠업(-3만8000명)도 감소폭이 컸다.

반면 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한 정부와 지자체의 대규모 일자리 사업으로 공공행정 종사자는 20만9000명 급증했다.

전 업종을 통틀어 국내 1인 이상 사업체 전체 종사자는 1870만4000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4만명(0.2%) 줄었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상용직 근로자는 22만8000명 감소했지만, 임시·일용직은 23만6000명 증가했다. 임시·일용직의 증가도 정부와 지자체 일자리 사업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대리운전기사와 같은 특수고용직을 포함하는 기타 종사자는 4만8000명 감소했다.

지난 9월 기준으로 상용직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임금 총액은 평균 381만6000원으로, 작년 동월보다 7만원(1.9%) 상승했다. 상용직 임금은 403만9000원으로, 5만9000원(1.5%) 상승했고 임시·일용직 임금은 164만7000원으로, 11만8000원(7.7%) 올랐다.

지난 9월 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은 평균 162.2시간으로, 전년 동월 대비 10.1시간(6.6%) 증가했다. 이는 9월 근로일수가 작년 동월보다 1.3일 많은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경제부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