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F, 온실가스 감축·기후변화 사업에 20억 지원

[아시아경제 장세희 기자]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국제기구 녹색기후기금(GCF)에서 태평양 군도국가의 기후 정보체계 사업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1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 9~13일 화상을 통해 제27차 GCF 이사회가 열렸다. 이번 이사회는 GCF의 첫 재원보충기간(2020~2023년) 중장기 운영 방향을 수립하는 전략적 계획, 신규 사업, 사업결과관리프레임워크, 내년도 예산안 등을 논의했다.

먼저 GCF의 비전·목표·우선순위를 담은 전략적 계획은 지난해 11월부터 논의를 시작해 이번 이사회에서 채택했다.

GCF는 앞으로 사업발굴 과정에서 개도국의 주도성을 확대하고 최빈개도국(LDC)·군소도서국(SIDC)·아프리카국가 등 취약국 대상 적응 사업도 늘리기로 했다. 민간금융 참여를 확대하고 운영 효율성도 강화할 계획이다.

총사업비 20억8000만달러 규모의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변화 적응사업 16건을 새로 승인했다. GCF의 지원액은 10억1000만달러다.

주요 사업으로는 방글라데시 에너지 효율화 투자(GCF 2억5648만달러 지원), 브라질 북동부 생산적 농업시스템 개발(GCF 9950만달러 지원), 아프리카 9개국 에너지 접근성 제고를 위한 금융지원(GCF 3000만달러 지원) 등이다.

국내기관 APEC기후센터가 참여하는 태평양 군도국가 기후정보체계 강화 사업도 승인했다. 해당 사업은 태평양 5개 도서국가(쿡제도·니우에·팔라우·마셜제도·투발루) 대상으로 기후 관측·감시·예보 체계를 강화하고 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는 프로젝트다. APEC기후센터는 세부사업 중 지역공동체 역량강화 활동에 참여할 예정이다.

GCF 승인사업은 총 159건, 총 사업비 규모 232억달러(GCF 사업비 72억달러)로 확대했다. GCF는 기후변화에 취약한 개도국의 약 4억명이 혜택을 받고 총 12억t 규모의 온실가스가 감축될 것으로 기대했다.

아울러 사업성과에 대한 체계적 관리를 위해 통합결과관리프레임워크(IRMF) 마련안도 논의했다. 단순화된 지표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 회복적 발전에 대한 사업 효과를 체계적으로 측정할 수 마련하는 방안이다.

기재부는 "세계 최대의 기후변화 대응기금으로서 GCF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그린 뉴딜과 연계 강화를 통해 국내 기관·기업의 사업 참여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장세희 기자 jangsay@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경제부 장세희 기자 jangsa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